논문 상세보기

디지털 저작권을 고려한 모바일 학습의 이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언에 관한 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Use Behaviour of Mobile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Digital Copyrigh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79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디지털저작권연구 (Journal of Digital Copyright)
디지털저작권학회 (The Society of Digital Copyright)
초록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산업사회에서 디지털사회로 전환되었으며 최근 스마트사회로 변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모바일기기의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보호 침해를 사전에 예방 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인터넷과 함께 다양한 업이 내장된 모바일기기를 활용함으로써 학습관 련활동의 목적으로 편리하게 다양한 정보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기술수용이론인 UTAUT(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모형을 개념적 틀(Conceptual Frame)로 이용하여 모바일학습의 이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아울러 모바일학습 이용자의 개인적인 특성인 혁신성향의 정도에 따라 위의 핵심 영향요인들이 모바일학습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언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인지된 이동성의 가치,성과에 대한 기대,사회적 영향 및 촉진조건요인들은 모바일 학습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사용의 용이성 및 자기주도 학습관리 요인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적 혁신성의 조절효과의 분석결과 성과에 대한 기대요인만이 모바일학습의 이용의도와의 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rapid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has been transferred from industrial to digital society, and are now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smart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prevention of infringement on digital copyrights for the protection of various mobile contents. Mobile devices with intemet capabilities and applications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e convenience of accessing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various leaming activities. This Study use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UTAUT)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use behaviour of mobile leam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determinants of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ming and to discover if there exist any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acceptance of mobile leam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ceived mobility value,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1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were all significant factors of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ming but that effort expectancy and self-management of leaming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innovativeness has been found to be valid only in the case of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ming.

저자
  • 허호원(숭실대학교 대학원경영학과) | Ho-Won Huh
  • 한경석(숭실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Kyeong-Seok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