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OS 게임 캐릭터의 존재론적 재현 양상 분석 - <리그 오브 레전드>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Ontological Representation of AOS Game Character - focused 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92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본 논문은 AOS 게임 캐릭터의 온라인-오프라인-온라인 순환을 통한 재현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게임 캐릭터 특유의 존재론적 의미와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AOS 게임인 <리그 오브 레전드>에 등장하는 123종의 캐릭터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를 피에르 레비의 존재론을 적용하여 게임 캐릭터의 재현 현상을 분석했다. 그 결 과, 플레이어는 온라인 게임 공간의 캐릭터와 오프라인 코스튬 플레이의 캐릭터를 상호 연계하 면서, 제한적 육체를 지닌 인간의 욕망을 대리적으로 실현하며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온라인 게임 캐릭터는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인간 경험을 확장하는 존재로, 디지털 시대 새로운 인간화 과정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presentation of characters of AOS online-game in order to find out the meanings of ontological game characters. This study selects characters of on-line game to analyze representations of game characters by Pierre Lévy’s ontological theory. The characters which represented in on-line games reproduced by costume play in off-line world reflect human desire and construct human existence. Online game character is an existing substance, which could expand human experiences by crossing virtual game world and reality in digital era.

목차
1. 서 론
 2. 현실 극복을 위한 캐릭터의 가상적재현
  2.1 가상의 몸을 통한 플레이어의 탈주
  2.2 영웅적 플레이를 통한 초인의 부활
 3. 물질적 구현을 통한 캐릭터의 이행
  3.1 코스튬 플레이를 통한 영웅 체현
  3.2 초인의 현현을 통한 아우라 극대화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한혜원(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Hye-Won Han Corresponding author
  • 구혜인(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Hye-In K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