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율리시즈의 귀향》에 대한 새로운 해석: ‘무’의 관념과 익명학회에 근거하여 KCI 등재

A New Interpretation on Il Ritorno d'Ulisse in partia: Based on "Nothingness" and Accademia degli Incognit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97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양음악학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한국서양음악학회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초록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율리시즈의 귀향》은 《포페아의 대관식》의 그늘에 가려져 왔 다. 상대적으로 의문의 여지가 없는 작품으로 인식되었던 《율리시즈의 귀향》의 주제는 두 주인공 율리시즈와 페넬로페의 사랑의 승리로 여겨졌다. 그러나 당시 전 유럽에서 유행했고 《율리시즈의 귀향》의 대본가 바도아로가 속해 있던 익명학회도 애용했던 무의 관념에 의 거하여 이 오페라를 해석하면 전혀 다른 일면을 보게 된다. 《율리시즈의 귀향》에서 언급하 는 사랑은 두 주인공의 그것이 아니며 반대 축 인물들의 입을 통해 나오는 무로서의 사랑이 다. 또한 대본과 총보의 차이라는 결과를 만들어 낸 대본가와 작곡가의 의견 차이의 원인 역 시 무의 관념을 통해 밝혀낼 수 있다. 《율리시즈의 귀향》에 대한 이러한 시각의 해석은 그 동안 《포페아의 대관식》에 비해 《율리시즈의 귀향》을 파악하기 쉬운 작품으로 받아들였 던 기존의 해석을 뒤집고 더 나아가 《포페아의 대관식》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단서 또한 제공한다.

Claudio Monteverdi's opera Il Ritorno d'Ulisse in patria, in comparison to his own L'incoronazione di Poppea, has not enjoyed much popularity in the musicological literature. It has generally been agreed, without much dispute, that the theme of Ulisse narrates the triumphant love story between Ulysses and Penelope. If one takes a look at the opera, however, with the concept of "nothingness," a popular concept not only prevalent throughout the Europe at the time, but more significantly, also advocated by the Accademia degli Incogniti, of which Giacomo Badoaro, the librettist of Ulisse, was a member, the other side of this seemingly happy story is revealed. The idea of "love" depicted in Ulisse is "Nothing" that comes from the mouth of the opposing characters (e.g., Penelope's suitors), not the one between Ulysses and his beloved. A curious discrepancy between the libretto and the score, most likely caused by the discrepancy between the librettist and the composer, can also be elucidated by the concept of nothingness. Such a view immediately challenges current scholarship in the literature that much less is there to be said about Ulysses than Poppea, and provides new evidence with which to look at the latter.

저자
  • 정의경 | Eui Kyung, Ch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