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에서 수집된 돌배나무의 유전적 다양성 KCI 등재

Genetic Diversity of Wild Pear Accessions Collected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06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형태적 특성과 microsatellite 마커를 이 용하여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돌배나무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배나무 14개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바 수집종간에 높은 변이성을 나타냈으나 환 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양적형질이기 때문에 정확한 특성평 가가 어려웠다. 50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62개 돌배나무 수집개체에 다형성 정도가 높은 16개를 선정하였다. 이들 마커와 돌배나무 유전자원 62점을 검정하였을 때 총 284개의 대립유전자가 나타났으며, 마커에 따라 10-27개까지 다양한 분포 양상을 나타냈다. 16개 마커의 평균 PIC 값과 관 찰된 이형접합성은 각각 0.836와 0.776로 나타났다. 돌배 62 개 수집개체를 microsatellite 마커에 의해 나타난 대립유전자 를 근거로 Jaccard 방법에 따라 산출된 유전적 유사도는 0.09 ~1.00까지 넓은 범위에 속하였고, UPGMA 방법에 따라 군 집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2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누어졌으며 55개 돌배나무 수집개체가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 결과는 돌배나무 수집개체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 평가를 통해 유용한 유전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 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Korean local accessions of wild pear using morphological traits and microsatellite markers. Assessment of 14 phenotypic traits showed high variation among wild pear accessions. These parameters were not applicable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wild pear collection due to quantitatively inherit and their expression is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Microsatellite markers were used to evaluate the genetic similarity of 62 accessions. Among 50 tested SSR markers, 16 primer pairs were selected to profile genetic diversity on the basis of high level polymorphism. These microsatellite markers showed 1 or 2 discrete amplified fragment for all of the accessions. The sixteen microsatellite loci amplified 278 alleles, with 10 to 27 alleles (average 17.385) per locus. The mean of observed heterozygosity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were 0.776 and 0.836, respectively. The Jaccard’s similarity coefficient ranged from 0.09 to 1.00. Two major groups were produced from all the accessions by UPGMA cluster analysis. Fifty five accessions could be discriminated except for 2 pairs. These results would be provided useful information about valuable genetic resources though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in local pear accession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분석재료 및 형태적 특성 조사
  Microsatellite 분석
  유전적 다양성 분석
 결과 및 고찰
  형태적 특성 조사
  Microsatellite 분석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문섭(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Moon-Sup Kim
  • 김세현(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Sea-Hyun Kim
  • 한진규(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Jin-Gyu Han
  • 송정호(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Jeong-Ho Song
  • 김혜수(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Hyeu-Soo Kim
  • 김도훈(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유전공학과) | Do-Hoon Kim
  • 권용삼(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유전공학과) | Yong-Sham Kw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