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육종학회지 KCI 등재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47 No. 1 (2015년 3월) 13

1.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V. nashicola에 의해 발생하는 배 검은별무늬병 에 저항성을 가지는 유전자를 선발하고자 고도 저항성 ‘93-3-98’과 고도 감수성 ‘스위트스킨’에 병 접종후 24시간, 48시간후 엽을 채취하여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을 수행하였다. ESTs 분석결과 ‘93-3-98’에서만 발현된 유전 자는 24H(tester, 24시간 ’93-3-98; driver, 24시간 ‘스위트스킨’)과 48H(tester, 48시간 ’93-3-98; driver, 48시간 ‘스위트 스킨’)에서 각각 9개, 14개였으며 방어 또는 스트레스에 관련 된 유전자의 비율은 각각 40%와 42%였다. 식물의 방어반응에 관련된 PR protein family 유전자로써는 24H에서 pathogenesisrelated protein 1a, major allergen Pyr c 1과 allergen mal d 1, 48H에서는 major allergen Mal d 1.03B 유전자가 특이 적으로 발현되었고 다수의 방어반응에 관련된 유전자들도 확 인되었다. Major allergen Pyr c 1, F-Box/kelch-repeat protein, flavoprotein wrbA, hypothetical protein POPTRDRAFT_ 783792은 고도저항성 ‘Bartlett’과 ‘93-3-98’에서만 높게 발 현 되었으며 중도저항성 ‘감천배’와 감수성 ‘원황’, 고도 감수 성 ‘신고’와 ‘스위트스킨’에서는 낮게 발현되어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연관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2.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화용 거베라 품종 80여 점을 자가 수분하여 40개의 자식 계통을 양성하였다. 자식 계통들은 화색과 화심색 등의 질적 형질과 화경, 화경장, 개화소요일수 등의 양적형질에서 다양 한 변이를 보였다. 자식계통은 원 품종에 비해 자식열세 현상 을 보였으며 화경장과 화경은 자식 4세대에서 원 품종에 비해 66-88%, 89%의 생육을 나타냈다. 자식 세대를 진전함에 따 라 30개체를 조사한 양적 형질의 분산이 적어져 특성이 고정 되는 것을 보였으며, 화색은 자식 3-4세대에서 대부분 고정되 어 화색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많지 않을 것으로 추찰되었다. 자식 3세대 계통 간 교잡으로 얻은 일대잡종은 화경, 개화소 요일수, 화경장, 화수 등에서 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화경, 화경장, 화수에서는 비교적 높은 정도의 잡종강세를 보였으나 개화소요일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정도의 잡종강세를 보였다.
3.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밀양23호의 배경에 O. glaberrima의 특정 염색체단편을 가지는 55 이입계통의 내건성 관련 형질을 조 사하여 변이를 검정하고 내건성이 향상된 4 계통을 선발하였 다. 특히 IL55는 유묘기, 영양생장기 그리고 생식생장기에서 반복친인 밀양23호에 비해 조사된 내건성 형질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내건성 관련 유전자의 분석 및 교배모본으 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입계통들은 밀양23호의 유전적 배경에 각 계통마다 서로 다른 O. glaberrima 단편이 이입된 계통으로, 이 집단은 O. glaberrima에서 유래된 내재해성 및 작물학적으로 유용한 유전자의 탐색에 효율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4.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β-카로틴 강화벼 도입유전자의 도입 위치와 안정성을 도입 위치 주변염기서열 분석과 서던 분석한 결과, 벼 염색체 2번 중 30,363,938번과 30,363,973번 사이의 단일 부위에 도입유 전가 도입되었으며, T5-T7 세대 동안 도입된 모든 유전자들 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도입유전자의 운반체인 Backbone DNA (pSB11)는 β-카로틴 강화벼에 삽입되지 않 았음을 확인하였다. 선발 마커로 도입된 PAT 단백질의 발현 분석 결과에서도 T5-T7 세대별, 생육시기별로 안정적으로 발 현됨을 검정하였으며, 목적 형질인 β-카로틴 분석 결과에서 도 모품종인 낙동벼에 비해 9.4배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 다. 이상의 분석기법을 통해 복수세대에서 β-카로틴 강화벼 의 도입 유전자들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목적 단백질들이 안정적으로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5.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Bacillus thuringiensis 유래의 살충성 mCry1Ac 유전자를 무선발 형질전환 방법으로 일미 벼에 도입하여 개 발된 마커프리 형질전환 Bt 벼 2계통의 일반성분 및 주요성분 (무기질, 아미노산) 함량을 확인하여 모본벼 및 다른 일반품 종과 함량차이를 비교 분석 함으로서 형질전환 벼의 영양성 분 동등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영양성분 분석결과 GM 벼 현미의 일반성분 조성 중 식이섬유 함량과 일부 무기 질 함량이 모본 벼인 일미와 비교하여 다소 유의적 차이가 있 었지만 일반품종에서 나타나는 함량범위 안에 포함되는 수치 이며, 아미노산 성분과 대부분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의 함량 은 전반적으로 모본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형질전 환 벼에서 관찰된 일부 성분 차이는 Bt 유전자의 도입 효과가 아닌 재배 환경 및 토양성분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형질 전환에 의한 비의도적 영양성분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6.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형태적 특성과 microsatellite 마커를 이 용하여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돌배나무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배나무 14개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바 수집종간에 높은 변이성을 나타냈으나 환 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양적형질이기 때문에 정확한 특성평 가가 어려웠다. 50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62개 돌배나무 수집개체에 다형성 정도가 높은 16개를 선정하였다. 이들 마커와 돌배나무 유전자원 62점을 검정하였을 때 총 284개의 대립유전자가 나타났으며, 마커에 따라 10-27개까지 다양한 분포 양상을 나타냈다. 16개 마커의 평균 PIC 값과 관 찰된 이형접합성은 각각 0.836와 0.776로 나타났다. 돌배 62 개 수집개체를 microsatellite 마커에 의해 나타난 대립유전자 를 근거로 Jaccard 방법에 따라 산출된 유전적 유사도는 0.09 ~1.00까지 넓은 범위에 속하였고, UPGMA 방법에 따라 군 집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2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누어졌으며 55개 돌배나무 수집개체가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 결과는 돌배나무 수집개체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 평가를 통해 유용한 유전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 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7.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2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에 대하여 300개의 SSR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 계통유연관계 및 집단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전적 다양성 분석 결과, 300개의 SSR primer들은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12계통들에 서 총 1,331개의 대립단편을 증폭시켰으며, SSR primer당 대 립단편들은 최소 2개에서 최대 10개까지 나타나 평균 4.44개가 증폭되었다. MAF는 0.25에서 0.92의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0.48을 나타내었다. 총 1,331개의 대립단편 중에서 221개의 대립단편들은 색소옥수수 계통들에서 특이적으로 나 타났고, 408개의 대립단편은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에서 특이 적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702개의 대립단편들은 색소 및 비색소 계통들에서 공통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총 163개의 SSR 마커에서 색소옥수수 특이적 대립단편이 확인되었다. 집 단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 12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핵심집단 계통들은 groups I, II, III, admixed group으로 구 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옥수수 육종연구에서 색소 및 비색 소옥수수 계통들의 식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8.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단경 대립 다수 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대립 고품질인 ‘팔광’과 단경 소분 지 자원인 ‘중국수집종-1’을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상안’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안’은 신풍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단경 소분지성이다. ‘상 안’은 주당 성숙협수는 40개이며 ‘대광’ 땅콩에 비해 협실비 율, 성숙립중비율, 100립중등 양호한 성숙특성을 보이며 100 립중이 96 g인 대립품종이고, 갈반병, 흑반병에 비교적 강하 고 그물무늬병과 흰비단병은 다소 발병이 되고 있으며 도복 도 비교적 강한 특성을 나타낸다. ‘상안’은 단백질이 29.1%, 기름함량이 48.5%이고 지방산은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안’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평균 4.87 ton로서 대광땅콩에 비하여 15% 증수되었다. ‘상안’은 경장이 짧고 신풍형으로 병해에도 비교적 강한 편이 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경기북부와 강원도, 산간 고냉지를 제 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등록번호 제 4717호).
9.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눈큰흑찰은 최근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12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육 성한 품종이다. 눈큰흑찰은 씨눈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 함량 이 높은 벼 개발을 목적으로 get를 모본으로 하고 흑찰벼인 조생흑찰 부본으로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되었다. 선 발된 YR25277-B-B-314-2 계통을 밀양263호로 계통명을 부 여하고 2010~2012년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하여 2012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품 종으로 선정되었으며 눈큰흑찰로 명명하였다. 눈큰흑찰의 출 수기는 전국 평균 7월 30일로 조생흑찰과 비슷한 조생종이다. 벼 키는 65 cm로 조생흑찰과 비슷하며 포기당 이삭수와 이삭 당 벼알수도 각각 13개와 73개로 조생흑찰과 비슷하다. 천랍 중이 17.8 g으로 조생흑찰보다 1.7 g 정도 가벼운 편이다. 도 복 및 도열병에는 강하나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및 해충에 약한 편이다. 쌀수량은 3.54 Mt/ha로 조생흑찰의 4.12 MT/ha 보다 낮은 편이다. 현미모양은 장폭비 1.93으로 조생흑찰과 비슷한 중장립형이며 종피에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흑색찰벼 이다. 눈큰흑찰은 거대배 품종으로 씨눈무게가 1.46 mg으로 조생흑찰 보다 3배 정도 무거우며, 이에 따라 씨눈에 많이 포 함된 GABA 함량이 높다. 눈큰흑찰의 적응지역은 중부 및 남 부 평야지이다.
10.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 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직립 대립 다수성인 '수원108호'과 조숙 단경인 '밀양4호'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보름1호’의 주 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름1호’는 신풍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소분지성이다. 보름 1호는 팔광땅콩에 비해 협당립수, 100립중 등이 높으며 100 립중이 105 g인 대립품종이며, 도복은 비교적 강한 특성을 나 타내며 갈반병, 그물무늬병, 흑반병은 비슷한 정도이다. 보름1 호는 단백질이 29.8%, 기름함량이 49.9%이고 양질지방산중 올레산(54.5%)이 리놀산(28%) 보다 더 높아 산화안정성이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보름1호’는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풋땅콩 수량이 전국평균 10.16 ton/ha로서 ‘팔광’땅콩에 비하 여 8% 증수되었다. ‘보름1호’는 대립종이므로 적기에 파종하 고,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성숙기 병해 방제에 유의해야 하며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 종이다(등록번호: 제 4522호).
11.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배종 ‘농협 애’ 호박은 F₁ 교배종으로 수량성이 뛰어나 고, 과형이 H형으로 외관상 모양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잎이 작고 절간이 짧아 저온기 터넬 억제재배에 알맞은 품종이다. 모계 SA11은 과형이 H형으로 다소 통통하고 짧으면서 절간 길이가 짧아 절성이 좋은 계통으로 육성하였고, 부계 SJ23은 과장이 다소 길면서 육질이 단단한 계통으로 선발 육성하였 다. 1996년도에 조합작성 교배하여, 1997년도에 조합선발시 험과 시교채종을 하였고, 1998~1999년도에 주요 재배단지에 서 농가 실증시험을 실시하여 우수한 평가결과를 얻어 1999 년에 품종등록한 후 농가에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농협 애’ 호박 품종의 특징은 기존의 애호박 품종보다 마디 절성이 높 고 수량이 많은 다수확 품종으로 잎이 작고 절간이 짧으며, 초세가 적당하여 밀식재배가 가능하다. 특히 절간이 짧고 절 성이 좋기 때문에 장기재배시 덩굴내림을 해 주어야하는 노 동력을 줄일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과형은 H자형으로 외관상 모양이 우수하고, 과피색은 연한 담녹색으로 상품성이 우수하다. 과육질은 단단한 편으로 수송성이 뛰어나고, 측지 발생이 잘 되므로 측지를 이용한 재배도 가능하다. 기존 품종 에 비해 수확량이 많은 다수확 품종으로 터넬 억제재배를 주 로 하는 전남, 경남, 충남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품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12.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평옥은 다수성 종실용 옥수수 품종 개발을 위하여 2010 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자식계통 KS158과 KS155를 교잡하여 육성한 다수성 단교잡종이다. 다평옥의 종피색은 황색이며 입질은 마치종이다. 2006~2007년까지 2 년 동안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8~2010년까지 3년 동안 수원 등 3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수 성이 인정되어 2010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고 다평옥으로 명명하였다. 다평옥의 출사일수는 장다옥과 같다. 간장은 장다옥과 비슷하며 착수고율은 장다옥과 같다. 도복은 장다옥 정도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삭길이는 장다옥보다 다소 작으며 100립중은 장다옥보다 가볍다. 깨씨무늬병과 그 을음무늬병에는 강한 편이다. 검은줄오갈병, 이삭썩음병 및 조명나방 저항성은 중 정도를 보인다. 다평옥의 종실수량은 8.6 톤/ha로 장다옥보다 8% 많았다. 4 : 1(모본 : 부본) 재식 비율로 동시 파종하여 채종 시험한 결과 모본 출사기와 부본 화분비산기간이 일치하였으며 채종수량은 2.8 톤/ha이었다. 다평옥은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품종출원등록번호: 제 4969호).
13.
2015.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륜(Oryun)’은 강원도농업기술원 특화작물연구소에서 ‘대서(Atlantic)’를 모본으로, 페루 수집종 ‘CIP705’를 부본으 로 인공교배한 후 2012년에 선발 육성된 품종이다. 2010년부 터 2012년까지 3년간 특성검정과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하였 다. ‘오륜(Oryun)’의 생장 습성은 반직립형이며 초세가 강하 고 내도복성이다. 괴경 크기는 편원형이며, 꽃색은 흰색이며 표피색은 황색, 육색은 백색이다. ‘오륜(Oryun)’의 휴면기간 은 90~100일로 ‘수미(Superior)’ 보다 5~10일 정도 길다. ‘오륜(Oryun)’의 지역적응시험 결과 상품 수량은 ha당 36.8 M/T이며 괴경의 평균비중은 1.080으로 ‘수미(Superior)’에 비해 높다. 또한 역병에 비교적 강하여 친환경재배에 알맞은 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