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육종학회지 KCI 등재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44 No. 1 (2012년 3월) 12

1.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ld rice might have previously unidentified genes important for disease resistance and stress tolerance in response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A set of subtractive library was constructed both from leaves of wild rice plants, Oryza grandiglumis (CCDD, 2n=48), treated with fungal elicitor and from wounded leaves. A partial fragment that was homologous to PR10 genes from other plant species was identified via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and cDNA macroarray. The obtained full-length cDNA sequence (OgPR10) contains an open reading frame of 480 bp nucleotide, encoding 160 amino acids with a predicted molecular mass of 16.944 kDa and an isoelectric point (pI) of 4.91. The multiple alignment analyses showed the higher sequence homology of OgPR10 with PR10 genes identified in rice plants at amino acid level. The OgPR10 mRNA was not expressed by treatment with wounding, jasmonic acid, and salicylic acid, but markedly expressed in leaves treated with protein phosphatase inhibitors cantharidin and endothall, and yeast extract.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OgPR10 mRNA was induced within 72 h after treatment with probenazole, one of well-known chemical elicitors, and reached the highest level at 144 h. Heterologous expression of OgPR10 caused growth inhibition and seedling lethality in E. coli and Arabidopsis, respectively. Chemically induced OgPR10 expression with glucocorticoid-mediated transcriptional induction system further reconfirmed its lethality on Arabidopsis seedling. In addition, OgPR10-expressing rice plants, Oryzae sativar were resistant against the infection of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grise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gPR10 is involved in probenazole- and microbe associated molecular patterns-mediated disease resistance responses in plants and is a potential gene for developing disease resistance crop plants.
2.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가루와 면대 색이 밝은 품종의 육종효율을 증진하기 위하여 PPO 활성과 연관된 sequence-tagged site(STS) 분자표지인 PPO-05, PPO-16, PPO-18, PPO-30과 PPO-43을 이용하여 국내의 밀 품종의 PPO활성 수준과 유전자형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Ppo-A1에 연관된 PPO-18이 국내 밀 품종의 PPO 활성 판별과 선발에 유용한 분자표지로 확인되었다. PPO 활성은 Ppo-A1b 유전자형 품종(0.446)이 P
3.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대목 품종 육성 시, 주요 교배친으로 사용되는 대목 품종 29점 및 국내 자생 머루를 포함한 포도 속(Vitis) 야생 유전자원 13점 등 총 42점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APD와 SSR 분석을 수행하였다. Random decamer 30 종을 분석하여 329개의 다형성 밴드(60.3%)를 얻었으며 primer 당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11.0개였다. SSR 마커 20종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63개의 대립인자가 확인되었고, 마커
4.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선발된 고 oleic acid 콩 품종인 광안콩의 환경안정성을 검토한 것으로 미국과 한국의 10개 환경에서 광안콩의 oleic acid 함량을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조품종으로 이용된 고 oleic acid 콩 N98-4445A는 10개 환경에서 평균 55.5%의 oleic acid 함량을 보였고, M23은 47.4%의 함량을 보였다. 2. 광안콩은 고 oleic acid 대조품종 보다는 낮은 함량을 보였
5.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설'은 중생이며 흑색이며 연질 그리고 메벼인 가공용 품종육성을 위하여 1999년 메벼 연질인 '설갱'를 모본으로 하고 흑색 유색미인 '흑진주'를 부본으로 교배하고 SR25946-B-B-17-2을 선발하여 수원505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7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흑설'로 명명하였다. '흑설'의 출수기는 보
6.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산1호'는 내랭성이 강한 통일형 초다수 벼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7년 하계에 Bengal/Yongmoonbyeo F1에 Dasanbyeo를 삼원교잡시켜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2006년 12월에 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으로 결정되었는데 그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산 1호'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8월12일로 다산벼보다 2일 정도 늦은 중생종이며, '다산 1호'의 도열병, 흰잎마름병, 호엽고병 및 오갈병에
7.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대1호'는 1991년 하계에 조숙 안전 고품질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고품질인 일품벼를 모본으로 초형이 좋고 조숙내냉성 계통인 진부10호를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의해 숙기가 빠르고 내도복성이며 수량성이 높고 밥맛이 좋은 SR19018-19-2-2-2-1-1을 선발하여 2003년에 진부37호의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03년~2005년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5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오대1호'
8.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진주'는 1991년 하계에 개화 후 수정된 양질다수성 품종인 일품벼 수정난을 26±1℃ 암조건에서 1 mM의 MNU 용액에 45분간 침지한 후 24시간 동안 수세하였다. 처리한 식물체를 온실에서 등숙시켜 종실을 수확하여 돌연변이 M1세대 697개체를 얻었다. 1992년 하계 온실에서 M2세대 15개체를 선발하여 1992/'93 동계 온실에서 M3 집단을 육성하였다. M4 세대부터는 포장에서 계통 선발법에 의해 주요 병해충 및 미질검정을 병행하여 다양한
9.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용도의 가공용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5년 하계에 아밀로스함량이 낮은 일품벼 변이체 Ilpum (MNU)-10-2-GH1-3을 모본으로 하고 양질 내도복성인 서안벼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SR21716-30-2-3-1을 선발하여 '수원491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2003년-2005년 3개년 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5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백진주1호'로
10.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남농업기술원 예산국화시험장에서 스프레이국화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투톤'을 모본으로 자연방임수분을 실시하여 '예스모닝'을 육성하였다. 이 품종의 주년재배 특성검정을 2003부터 2005년까지 3년 동안 조사하였다. '예스모닝'의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경이고 촉성 및 억제재배가 가능하다. '예스모닝'은 홑꽃이며 꽃잎은 꽃잎의 가장자리는 백색이고 안쪽은 자주색의 복색이며 화심은 진한 녹색이다. 꽃 직경은 4.4 cm이고 화심 폭은 1.3 cm이다. 착화
11.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글이' 품종은 2000년에 교잡계통중 노란색인 97-38계통을 모본으로, 역시 노란색인 97-110계통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선발된 00-26-1 개체를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증식 및 양구를 하면서 생육 및 개화특성을 검정하여 품종출원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화색 및 초형이 우수하여 '방글이'라는 품종으로 품종보호권이 등록되었다. '방글이'는 꽃봉오리에 솜털이 없으며 화색이 노란색인데 중심부에 진노란색 (YO17A)에서 밖으로 점점 연한 노란색 (Y
12.
2012.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흑깨'는 2006년에 국립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에서 육성한 품종으로 내병성은 약하지만 다수성 품종인 '유성깨'에 내병성이 강하면서 다수성인 '수원131호'를 교배한 후대에 고품질 다수성인 '경북1호'를 1994년에 3원교잡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표준품종에 비하여 수량성이 높고 총아미노산 함량이 많으면서 검정색 착색도가 진한 고품질 품종이다. 경장은 125 cm이고, 주당 삭수는 77개이다. 1,000립중은 2.57 g이고 기름함량은 표준품종보다 약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