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arley(Hordeum vulgare L.) cultivar 'Youjin' with hooded spike type having good silage quality was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6. ‘Youjin’ showed both high yielding and cold resistance through the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PYT, AYT) from 2012 to 2013. We conducted regional yield trials(RYT) of ‘Youjin’ in six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4 to 2016. It had erect plant type, growth habit of II, the green leaf and hooded awn type. In the paddy field its heading date was April 24 and the maturing date was May 25. Plant height was 99 cm and the number of spikes per m2 was 696. It has high rate of leaf blades, resistance to BaYMV(Barley Yellow Mosiac Virus) and good winter hardiness. The average dry matter of Youjin was about 17.2 MT ha-1 in the field. And feed quality of ‘Youjin’ was 10.6% of crude protein content, 24.8% of ADF(Acid Detergent Fiber), 43.5 % of NDF(Neutral Detergent Fiber), 69.1% of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And also ‘Youjin’ had grade I of silage quality.
‘미한’은 추위 및 도복에 강한 다수성이면서 총체적성이 우수한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1년 추위 및 도복에 강하며 초형이 양호한 ‘SB00T2064’를 모본으로, 양질다수성으로 총체적성이 우수한 ‘수원385호(IT215831)’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익산487호’로서 전국 6개소에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6년에 육성되었다. ‘미한’은 기존 육성된 ‘영양’의 거친 망의 단점을 개선하여, 까락의 거치가 적은 반매끈망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미한’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V정도로 영양보다는 추파성이 강하였다. 미한의 잎은 녹색이며, 엽폭은 중간정도이며, 엽이의 안토시아닌색은 없으며, 초장은 96㎝, ㎡당 경수는 665개로 표준품종인 ‘영양’ 보다 적었으나, 엽신 비율이 17.9%, 이삭비율은 52.2%로 높다.
답리작(전주 등 5개 지역 평균)에서 출수기는 4월 23일로 ‘영양’보다 3일 늦었으나, 황숙기는 5월 23일로 ‘영양’보다 1일 늦었다. ‘미한’은 내한성에 대해서는‘영양’보다 강하며, 흰가루병에는 약하며,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3.9톤/ha으로 ‘영양’과 보다 5% 감수하였지만, 답리작에서 10.9톤/ha으로 ‘영양’과 같았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10.3%로 ‘영양’에 비해 높았으며, ADF는 26.1%, NDF는 46.9%로 ‘영양’보다 높았으며 TDN이 68.2% ‘영양’보다 다소 낮았으나, 사일리지 품질등급은 I 등급으로 ‘영양’보다 우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wheat to make grain silage, in Honam region of Korea. We harvested wheat grain every third day from 30 to 42 days after heading (DAH).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from 61.6% at 30 DAH to 42.8% at 42 DAH. Yield of wheat grain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0 to 42 DAH (p< 0.05). Yield at 39 DAH (3.46T/h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at 42 DAH (p< 0.05). With respect to the feed value of wheat grain silage, the amount of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crude ash was different by harvesting time (p< 0.05). However, the amou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from 30 and 42 DA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H of wheat grain silage from 30 to 42 DAH was between 3.8 and 4.5 and it was stable until 39 DAH (p< 0.05). The lactic acid content of wheat grain silage from 30 to 42 DAH decreased from 3.08% to 1.10%. With respect to moisture content, yield, feed value, and fermentatio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wheat grain silage was 39 DAH.
'Dakyeong' (Avena sativa L.), a winter oats for forage use,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6.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CI7505’(IT133304) and ‘Swan’(IT197920). Subsequent generations followed by the cross were handled in bulk and pedigree selection programs at Iksan and Jeonju, respectively. After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est for 2 years, ‘SO2004009-B-B-10-8-3-9’, designated as a line name of ‘Gwiri91’, were subsequently evaluated for earliness and forage yield during 3 years in four parts such as Jeju (upland), Yesan (upland), Iksan (upland), and Jeonju (paddy), from 2014 to 2016, and finally named as ‘Dakyeong’. Cultivar ‘Dakyong’ has leaves of dark green color, thick diameter culm and long grain of brown color. Over 3 years, the heading date of ‘Dakyeong’ was about 5 days earlier than that of check cultivar ‘Samhan’ (April 30 and May 5, respectively), and their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harvested at milk-ripe stage was higher 12% (15.7 tone ha-1) than 14.0 tone ha-1 of check cultivar. Cultivar ‘Dakyeong’ was lower than the check cultivar ‘Samhan’ in terms of the protein content (6.1% and 7.0%, respectively)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62.1%, and 62.5%, respectively), while the TDN yield was more than the check (7.79 tone ha-1 and 7.64 tone ha-1, respectively). Fall sowing cropping of ‘Dakyeong’ is recommended only in areas where average daily minimum mean temperatures in January are higher than -6°C, and it should not be cultivated in mountain areas, where frost damage is likely to occur.
Oats (Avena sativa L.), which are known as one of the forage crops of Korea, have good livestock palatability and are popular to cattle farmers because of their high dry matter. However, the cultivation of double cropping in the rice field was reluctant due to the late maturing for farmers to plant rice continuously. 'Hi-early', a winter oats for forage use,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6.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517A2-121’(IT133383) and ‘CI7604’ (IT133379). Subsequent generations followed by the cross were handled in bulk and pedigree selection programs at Suwon, Iksan and Jeonju, respectively. After preliminary and advance yield test for 2 years, ‘SO2004015-B-B-23-1-3-7’, designated as a line name of ‘Gwiri92’, were subsequently evaluated for earliness and forage yield during 3 years in four parts such as Jeju (upland), Yesan (upland), Iksan (upland), and Jeonju (paddy), from 2014 to 2016, and finally named as ‘Hi-early’. Cultivar ‘Hi-ear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medium leaves of green color, thick diameter culm, and medium grain of brown color. Over 3 years, the heading date of ‘Hi-early’ was about 9 days earlier than that of check cultivar ‘Samhan’ (April 26 and May 5, respectively). Average forage fresh yield of ‘Hi-early’ harvested at milk-ripe stage was similar to check cultivar (40.2 tone ha-1 and 40.0 tone ha-1, respectively), and dry matter yield also was similar to check cultivar (14.2 tone ha-1 and 14.0 tone ha-1, respectively). Cultivar ‘Hi-early’ was lower than the check cultivar ‘Samhan’ in terms of the protein content (6.2% and 7.0%, respectively)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61.0%, and 62.5%, respectively), while the TDN yield was more than the check (7.91 tone ha-1 and 7.64 tone ha-1, respectively). Fall sowing cropping of ‘Hi-early’ is recommended only in areas where average daily minimum mean temperatures in January are higher than -6°C, and it should not be cultivated in mountain areas, where frost damage is likely to occu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eed value and silage quality according to storage period and film layers in whole crop oat silage.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in all silage during the storage periods compared to those before silage, under prolonged storage period slightly and the number of film layers of silage, six layer were higher than four layers, but no significant. NDF and ADF contents were also increased in all silage of storage duration compared to those before silage, but they was similar level between storage duration and number of film layers. TDN content was decreased of the storage duration. However, it was similar under the storage duration and the number of film layers. The pH value was decreased during prolonged storage period and six layers was lower than four layers depending on the film layers. In the organic acid contents,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ere increased under the prolonged storage duration, and butyric acid was higher significantly(p<0.05), six layers of the film were showed higher lactic acid and lower butyric acid(p<0.05). Therefore, oat silage should be used within 6 months it was when treated with 4 layers, if considering the long-term storage, it is desirable to treat it with 6 layers or more.
A new barley(Hordeum vulgare L.) cultivar ‘Dachung’ having high forage yielding and good silage quality was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5.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of the ‘Sunwoo’ and ‘Keunalbori1ho’ in 2002. And it’s promising line showed both high yield and lodging resistance through the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PYT, AYT) at Iksan from 2010 to 2012. It was designated as the ‘Iksan479’. ‘Iksan479’ was conducted to regional yield trials(RYT) in six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3 to 2015. And it was released as the name of ‘Dachung’. It has erect plant type, growth habit of IV and green leaf. In the paddy field its heading date was April 24 and maturing date was May 26, same day with ‘Youngyang’. Plant height of ‘Dachung’ was 99cm. Dachung’s spikes per m2 was 625. It has high rate of leaf blades, resistance to BaYMV(Barley Yellow Mosiac Virus) and better winter hardiness than that of ‘Youngyang’. The average dry matter of ‘Dachung’ was about 11.9 ton ha-1 in paddy field. And average feed quality of ‘Dachung’ was 9.0% of crude protein content, 31.3% of ADF (Acid Detergent Fiber), 54.4%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64.0%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Dachung’ had grade I of silage qualit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8℃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barley and wheat for the making of chopped whole crop silage substitute for formula feed. As a result, the moisture content of barley and wheat decreased with a late harvest, and barley progressed faster than wheat. The plant height was similar with harvesting time, and the number of spikes decreased with prolonged period after heading. The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of barley harvested at 35 and 40 days after head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30 days after heading and whea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40 and 45 days than at 35 day after heading(P<0.05). Crude protein content of barley and wheat were increased with later harvesting time, and crude fiber,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slightly de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DF and ADF content of barley decreased with later harvesting time, and those showed similar level in wheat. TDN content of barely was slightly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wheat. Comparing the effects of fermentation on feed value of chopped whole crop silage, the approximate compositions were slightly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ermentations resulted in increasing the pH value of barley silage with late harvesting time, but decreasing the lactic acid content(p<0.05). A pH value of wheat silage showed similar level in different harvest time, and lactic acid content was decreased. Consider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ermentation, barley and wheat can be used for making chopped silage of whole crop silage when they were harvested at 35 days and 40~45 days after heading, respectivel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information of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of wheat cultivar, ‘Taejoong’ to confirm availability as a whole crop silage. As a result, the heading date of ‘Teajoong’ is April 27, and plant height is longer than whole crop barley, ‘Youngyang’ or whole crop wheat, ‘Cheongwoo’, spike length are also large, fresh and dry matter yield are also high. In case of feed value, ‘Taejoong’ had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than whole crop barley, ‘Youngyang’ or whole crop wheat, ‘Cheongwoo’, lower NDF and ADF contents, and significantly higher digestible nutrient contents(p<0.05). In case of fermentation qulity, pH of ‘Taejoong’ was 4.2, and lactic acid content was lower than ‘Cheongwoo’ silage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Youngyang’ silage(p<0.05). Acet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Youngyang’ and ‘Cheongwoo’ silage(p<0.01), butyr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Youngyang’ silage (p<0.05). The final Flieg's score showed that ‘Taejoong’ silage was the best. Also income of ‘Taejoong’ improved than ‘Youngyang’ or ‘Cheongwoo’. Therefore, ‘Taejoong’ is considered sufficiently available as whole crop for forage.
The purpose of development new variety ‘Miho’ (Hordeum vulgare L.) is a favorite with livestock feed and develop varieties resistant to disease and lodging. ‘Miho’ was carrying out the growth habit of group Ⅲ with green and mid-wide leaf. Awn that is related to preference of livestock is a semi-smooth awn. This cultivar had 96 cm of culm length, 650 of spikes per m2. Heading date of ‘Miho’ was April 27, and maturing date on May 30, which were later than cultivar ‘Youngyang’. It also showed strong winter hardiness, and similar resistance to shattering and bariy yellow mosaic virus (BaYMV) compared with those of check one. The best thing among the traits of a good quality with the plant green at the latter growing period. The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about 13.1, 12.1 MT per ha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which were 9%, 2%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It’s also showed 6.8% crude protein, 27.1%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67.5%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whose average minimum temperature was above -8℃ January in Korean peninsula.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Makgeolli (WM), a traditional Korean cereal alcoholic drink, using three varieties of wheat, namely Jokyoung (JK), Baegjoong (BJ) and Keumkang (KK). Samples of WM brewed from 100%, 85% and 70% milling rates of the three Korean wheat cultivars were analyzed for alcohol, pH, coloring degree, total acids, soluble solid, free sugars, and organic acids. As the milling rates in wheat decreased, total sugar content in WM increased while the pH of all samples decreased. The WM exhibited 0.95~1.27% in acidity, 10.2~12.5 °Brix in total sugar, and 14~16% in alcohol content. The most organic acids in WM was lactic acid, ranging in all the samples from 85.3~650.3 mg%. The results showed that BJ under a 70% milling rate had the highest reducing sugar contents and 15.97% in alcohol content. The carbohydrate content increased with the milling rate of wheat. Resulting in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bohydrate content of wheat and total acids, reducing sugars (p<0.001), and alcohol content (p<0.05) in WM. Total sugar conten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cohol and reducing sugar content (p<0.001). Considering the yield, the milling rates will be adjusted to raw material prices.
농가생산 국산밀 품종을 이용하여 밀가루의 용해도 및 팽윤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suger-snap 쿠키를 제 조하고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국산 밀 품종은 전라도 광주, 전주지역에서 수집한 금강, 고소 및 백중 밀을 사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팽윤력 및 용해도는 65 및 95℃에서 각각 시행하였다. 금강 밀의 경우 용해도는 65℃에서 5.89- 7.24%를 나타내었으며, 95℃에서는 12.63-14.37%를 나타내었다. 고소의 경우 65℃에서는 5.15-5.68%를 나타내어 다른 품종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용해도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팽윤력을 측정한 결과 95℃에서는 금강품종 밀가루가 10.81-11.61%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백중의 경우는 8.37-11.31%를 나타내었다. 농가에서 생산된 국내 밀 품종을 이용하여 제조된 쿠키의 품질 특성은 쿠키의 직경, 넓이, 색도, 강도 및 경도를 분석하였다. 쿠키 넓이의 경우 고소품종 Ga를 이용하여 제조된 쿠키가 91.79 mm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소(84.08-91.79mm)를 이용한 쿠 키 넓이는 금강(77.40-85.08 mm)이나 백중(77.05-82.03 mm)을 이용하여 제조된 쿠키와 비교했을 때 넓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제조된 쿠키의 두께는 넓이의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두께의 경우 금강 Ka 시료를 이용하여 제조 된 쿠키가 14.25 mm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명도의 경우 금강 Kb밀가루 이용하여 제조된 시 료의 쿠키가 74.06으로 가장 밝게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쿠키의 강도와 경도를 분석한 결과 고소 품종 Ga를 이용 하여 제조된 쿠키의 강도 및 경도는 각각 743 및 1,319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경도의 경우 금강 Kb 시료가 435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쿠키의 경우 Kd 및 Bd시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쿠키의 크랙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가수집 국산밀 품종의 글루텐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국수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국 산 밀 품종은 광주, 전주지역에서 수집한 금강, 고소 및 백중 밀을 사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국산 밀가루의 글루텐 특성은 gluten index (GI), wet gluten content (WG), dry gluten content (DG), water binding in wet gluten (WBG)을 분석 하였다. 밀가루의 품질 특성은 면대의 두께, 색도를 분석하였으며 국수의 texture는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brittleness를 측정하였다. 밀가루의 GI는 금강품종의 경우 74.69-98.39를 나타냈으며, 고소의 경우 54.54- 90.32, 백중의 경우 73.43-94.87를 나타내었다. DG의 경우 금강 Kb 시료가 12.4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백 중 Bb의 경우 6.0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WBG의 경우 금강 Ka 및 Kb가 22.27% 및 24.70%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금강 Ka 및 Kb의 단백질 함량은 12.47 및 13.13%를 나타내었다. 농가에서 생산된 국산 밀 품종을 이용하여 면대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면대의 두께는 1.39-1.75 mm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색도의 경우 L*값은 금강 품종의 경우 79.56-83.89, 고소의 경우 83.20-85.54, 백중의 경우 82.05-85.05를 나타내었으며, 고소 Ga가 85.54로 가장 명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수의 hardness의 경우 금강 Ka 시료가 1,437 N으로 가장 높은 경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ardness의 경우 금강시료는 1,358-1,437 N을 나타내었으며 고소를 이용한 국수의 경도 는 1,225-1,387 N, 백중의 경우 1,139-1,341 N을 나타내었다. Chewiness의 경우도 금강 Ka시료가 760으로 가장 높은 값 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보리 재배시 보리그물무늬병 감염정도를 조사하여 지역과 연차간 종자 전염 발생 변 화와 기상 요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병징은 3월 5일부터 잎에 흑갈색의 작은 반 점들로부터 시작되어 보리의 출수기경에는 잎 전체가 고사되는 증상을 보였다. 감염 종자는 약한 붉은 색의 종피 변색을 나타내었다. 2조와 6조 겉보리 19품종을 시험한 결과 지역에 따라 종자 감염률이 차 이를 보였는데 평균 종자 감염률은 김제와 익산에서 각각 0.09-1.36%와 1.44-2.81%로 익산 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6조 겉보리가 2조에 비해 병 감염에 의한 종자 감염률에 대해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리그물무늬병에 의한 연차간 종자감염률의 변화를 보였다. 두 맥종에서 2012년 도에는 0.2%와 0.8%를 보였으나, 2013년도에는 1.4%와 2.8%로 높은 발생을 보였다. 이들 연차간 종자 감염률의 차이에 대한 평균기온과 강수량을 비교하였을때, 평균기온은 병 발생이 많았던 2013년도에 2012년에 비해 저온으로 경과하는 양상이었다. 강수량을 비교한 결과 2013년도에 2012년도에 비해 약 120mm 이상의 많은 강수량을 보였다. 이 결과에서 보리 신장기에서 등숙기까지 저온과 높은 강우시 병 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과정에서 버려지고 있는 고구마 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밀가루 중량 대비 고구마 잎 분말을 2, 3, 5, 7%의 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 하고, 반죽 및 제빵 특성, 생리활성 및 기능성분 등을 조사하 였다. 반죽의 수분흡수량은 7% 첨가 시 가장 높았고, 반죽시 간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반죽의 저항도는 2~3% 첨가할 때가 가장 안정적이었다. 식빵의 수분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하여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식빵의 내부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나, b값은 증가하였다.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 및 굽기 손실률은 첨가량 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항산화 활성과 총 폴리페놀, 루 테인 및 베타카로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 고 구마 잎 분말의 2~3% 첨가 시 맛과 색깔, 조직감, 입안에서의 씹힘성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값을 얻었다. 이 상의 결과에서 고구마 잎 분말의 2~3% 첨가 시, 제빵 적성과 기능성, 상품성이 우수한 식빵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비닐겹수 및 저장기간 따른 청보리 사일리지 의 사료가치 및 사일리지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 다. 조단백질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에 비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 간 높은 값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비닐겹 수에 따라서는 6겹 처리한 처리구가 4겹보다 높은 경향이 었다. NDF와 ADF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p<0.05),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비닐 겹수에 따라서는 6겹 처리한 처리구가 4겹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TDN 함량은 저 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비슷한 값을 보였다. 비닐겹수에 따 라서는 6겹에서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비닐겹수에 따라 서는 6겹에서 4겹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에서 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젖산함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산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낙 산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비 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4겹보다 높은 젖산함량과 낮은 낙산함량을 보였다(p<0.05). 따라서 청보리 사일리지는 장 기저장을 할 경우에는 6겹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4겹으 로 처리했을 경우 6개월 안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는 비닐겹수 및 저장기간 따른 청보리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사일리지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에 비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높은 값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 처리한 처리구가 4겹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NDF와 ADF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p<0.05),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비닐 겹수에 따라서는 6겹 처리한 처리구가 4겹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TDN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비슷한 값을 보였다.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4겹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젖산함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산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낙산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4겹보다 높은 젖산함량과 낮은 낙산함량을 보였다(p<0.05). 따라서 청보리 사일리지는 장기저장을 할 경우에는 6겹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4겹으로 처리했을 경우 6개월 안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우리나라 밀 품종 중 농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금강밀품종에 대하여 출수기 및 수량의 안정성을 전·답리작별 각 4개 지역에서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금강밀 품종의 평균출수기는 전작재배에서 대구가 4월 26 일로 가장 빠르고, 대전 및 청주가 각각 5월 2일, 5월 3일이 며, 수원이 5월 9일로 늦었다. 답리작재배에서는 나주가 4월 27일로 빠르고 진주, 밀양이 4월 28 ~ 29일, 익산이 5월 3일로 늦었다. Fig. 1.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wheat yield and environment index at four locations in cultivated upland in wheat variety “Keumkangmil”. Fig. 2.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wheat yield and environment index at four locations in cultivated paddy in wheat variety “Keumkangmil”. Fig. 3. The relationship of regression coefficients and mean yield in cultivated upland and paddy at four locations in wheat variety “Keumkangm 2. 10 a당 평균수량은 전작 530 kg, 답리작 417 kg으로서 전작에서 답리작보다 27% 증수되었으며, 전작재배에서는 수원 및 청주에서 평균수량 대비 각각 7%, 3% 증수하였으나, 대구는 11% 감수, 대전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답리작재배에서 는 밀양에서 7% 증수된 반면, 나주는 4% 감수하였다. 3. 평균 m2당수수는 답리작에서 평균 751개로 전작의 656개보다 95개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4. 평균 1수립수는 답리작에서 32립으로 전작의 25립보다 7립 정도 많고, 평균 천립중은 전작 47.9 g으로 답리작 45.3 g 과 비슷하였다. 5. Stroike and Johnson의 모델을 분석한 결과, 금강밀 품종의 환경지수는 −61에서 +35 미만으로서 환경 차이가 매우 작아 전 지역에서 안정적이며, 지역별 회귀계수는 수원, 청주, 대전 그리고 답리작의 밀양, 진주에서 1미만이고 표준편차평방화 값도 작어 평균 이상의 적응지역으로 나타났다. 6. Finlay and Wilkinson의 모델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 전작의 수원, 청주 그리고 답리작의 밀양, 진주가 가장 적응력이 높은 지역인 반면, 전작의 대구 및 답리작의 익산, 나주는 평균 안정성 이하의 지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Par-baked 미트파이 제조에 있어서 외피 특성과 굽는 조건 및 해동 조건이 Par-baked 미트파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미트파이 외피제조에 적합한 적정 가수량은 33%였으며, 적정 숙성시간은 한 시간이 적당하였다. Par-baked 미트파이를 위한 굽는 시간은 210℃에서 1차 굽기가 12분, 2차 굽기는 9분이 적당하였으며, 해동시간은 Par-baked 미트파이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국내산 밀가루와 강력분이 중력분과 박력분에 비하여 Par-baked 미트파이 제조에 적합하였기 때문에 단백질 함량과 질적 특성이 빵용에 적합한 국내 밀 품종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