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금강밀의 출수기 및 수량형질의 지역 안정성 KCI 등재

Regional Stability in Heading Date and Yield Character of Wheat Variety “Keumkangmi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85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우리나라 밀 품종 중 농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금강밀품종에 대하여 출수기 및 수량의 안정성을 전·답리작별 각 4개 지역에서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금강밀 품종의 평균출수기는 전작재배에서 대구가 4월 26 일로 가장 빠르고, 대전 및 청주가 각각 5월 2일, 5월 3일이 며, 수원이 5월 9일로 늦었다. 답리작재배에서는 나주가 4월 27일로 빠르고 진주, 밀양이 4월 28 ~ 29일, 익산이 5월 3일로 늦었다. Fig. 1.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wheat yield and environment index at four locations in cultivated upland in wheat variety “Keumkangmil”. Fig. 2.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wheat yield and environment index at four locations in cultivated paddy in wheat variety “Keumkangmil”. Fig. 3. The relationship of regression coefficients and mean yield in cultivated upland and paddy at four locations in wheat variety “Keumkangm 2. 10 a당 평균수량은 전작 530 kg, 답리작 417 kg으로서 전작에서 답리작보다 27% 증수되었으며, 전작재배에서는 수원 및 청주에서 평균수량 대비 각각 7%, 3% 증수하였으나, 대구는 11% 감수, 대전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답리작재배에서 는 밀양에서 7% 증수된 반면, 나주는 4% 감수하였다. 3. 평균 m2당수수는 답리작에서 평균 751개로 전작의 656개보다 95개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4. 평균 1수립수는 답리작에서 32립으로 전작의 25립보다 7립 정도 많고, 평균 천립중은 전작 47.9 g으로 답리작 45.3 g 과 비슷하였다. 5. Stroike and Johnson의 모델을 분석한 결과, 금강밀 품종의 환경지수는 −61에서 +35 미만으로서 환경 차이가 매우 작아 전 지역에서 안정적이며, 지역별 회귀계수는 수원, 청주, 대전 그리고 답리작의 밀양, 진주에서 1미만이고 표준편차평방화 값도 작어 평균 이상의 적응지역으로 나타났다. 6. Finlay and Wilkinson의 모델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 전작의 수원, 청주 그리고 답리작의 밀양, 진주가 가장 적응력이 높은 지역인 반면, 전작의 대구 및 답리작의 익산, 나주는 평균 안정성 이하의 지역으로 나타났다.

We researched the heading date and stability of main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 the Keumkangmil, which has been the most widely cultivated variety in Korea. We used both Stroike and Johnson model, and Finlay and Wilkins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heading date was the earliest at upland field in Daegu (April 26), and followed by Daejeon (May 2), Cheongju (May 3), and Suwon (May 9). The total average yields in upland and paddy field cultivations were 530kg/10a and 417 kg/10 a, respectively. For upland cultivation, Suwon and Cheongju showed the grain yields of 565kg/ 10a and 548 kg/10 a, respectively. These numbers are above the average. Daegu recorded the lowest main point quantity average. Suwon and Daejeon showed above the average. For cultivation on paddy field, Milyang recorded the highest yield, i.e., 447 kg/10 a, whereas Naju showed the lowest, i.e., 399kg/ 10a. According to the analysis for Stroike and Johnson model, the environmental index for Keumkangmil was between -60 and +35. This means, for all area, Keumkangmil is quite stable to cultivate. Suwon and Jinju showed the highest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stability analysis using Finlay and Wilkinson model, Suwon and Cheongju(for upland field cultivation) and Milyang and Jinju (for paddy field cultivation) found out to be most adaptable regions for Keumkangmil cultivation, whereas Daegu (for upland cultivation) and Naju (for paddy field cultivation) showed relatively low stability. Other areas showed average stability.

저자
  • 성병열(바이오맥연구소) | Byung-Ryeol Sung Corresponding author
  • 김정곤(바이오맥연구소) | Jung-Gon Kim
  • 장곤옥(바이오맥연구소) | Gon-Og Jang
  • 최경순(바이오맥연구소) | Kyung-Soon Choi
  • 강천식(국립식량과학원) | Cheon-Shik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