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SR 분자마커를 이용한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핵심집단의 유전분석 KCI 등재

Genetic Analysis of Core Sets of Colored Maize and Non-Colored Maize Inbred Lines using SSR Ma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06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12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에 대하여 300개의 SSR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 계통유연관계 및 집단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전적 다양성 분석 결과, 300개의 SSR primer들은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12계통들에 서 총 1,331개의 대립단편을 증폭시켰으며, SSR primer당 대 립단편들은 최소 2개에서 최대 10개까지 나타나 평균 4.44개가 증폭되었다. MAF는 0.25에서 0.92의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값은 0.48을 나타내었다. 총 1,331개의 대립단편 중에서 221개의 대립단편들은 색소옥수수 계통들에서 특이적으로 나 타났고, 408개의 대립단편은 비색소옥수수 계통들에서 특이 적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702개의 대립단편들은 색소 및 비색소 계통들에서 공통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총 163개의 SSR 마커에서 색소옥수수 특이적 대립단편이 확인되었다. 집 단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 12개의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핵심집단 계통들은 groups I, II, III, admixed group으로 구 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옥수수 육종연구에서 색소 및 비색 소옥수수 계통들의 식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In this study, genetic diversity, genetic relationship, population structure and association analysis among 12 colored and non-colored maize lines were investigated using 300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In genetic diversity analysis, a total of 1,331 alleles were identified at all the loci with an average of 4.44 and a range between 2 and 10 alleles per locus. The major allele frequency varied from 0.25 to 0.92 with an average of 0.48. Among 1,331 alleles, 221 alleles were colored maize specific allele, and 408 alleles were non-colored maize specific allele. While 702 alleles were shared in colored and non-colored maize lines. In addition, colored maize specific alleles were detected in 163 SSR markers. From population structure analysis, the 12 colored and non-colored maize lines were separated with based on the membership probability threshold 0.8, and divided into groups I, II, III and admixed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useful molecular markers for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ored and non-colored maize lines in the maize breeding studie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공시재료 및 DNA 추출
  SSR 분석 및 PCR 증폭
  전기영동 및 silver-staining
  Data 통계 분석
 결 과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핵심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색소특이적 마커 선발
  색소 및 비색소옥수수 핵심집단의 계통유연관계 및 집단구조
 고 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저자
  • 김병완(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 Byeong Wan Kim
  • 사규진(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 Kyu Jin Sa
  • 박기진(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 | Ki Jin Park
  • 박종열(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 | Jong Yeol Park
  • 이주경(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 Ju Kyong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