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약용 곤충에 발생하는 진균병의 진단 및 예방 요령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1426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식·약용 곤충에 주로 발생하는 진균병은 녹강병(Metarhizium anisopliae)과 백강병(Beauveria bassiana)이다. 본 실험에서는 두 병원균에 각각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녹강병 진단을 위해 M. anisopliae 유전자 염기서열 중 200여개의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그 중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선발하였다. 제작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진단 결과, 녹강병원균에서만 약 900base의 진단 band를 확인할 수 있었고, 검출 감도는 102 spores/ml 정도로서 육안으로 불가능한 농도에서도 진단이 가능하였다. 또한, 백강병 진단을 위해 B. bassiana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약 150여개의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특이 프라이머를 선발하였다. PCR 진단 결과, 백강병원균에서만 약 500base의 진단 band를 확인할 수 있었고, 검출 감도는 103 spores/ml 정도 이었다. 각각 제작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duplex-PCR를 해보았다. 검출감도는 낮았지만 동시진단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경제적 손실을 끼치는 주요 질병들은 조기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병 예방차원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며, 질병의 역학조사나 주변 환경 요인분석 등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대량사육장에서의 병 예방을 위한 주요 요령을 정리하였다. 장수풍뎅이 병 예방을 위한 주요 요령은 사육준비기, 입식기, 유충기 등 실제 사육농가에서 진행되는 시기에 맞추어 정리를 하였고, 꽃무지의 경우 1, 2령 때 사육상자 사육과, 3-4세대 이상 경과시 새로운 세대로 교체, 과습 방지 등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저자
  • 최지영(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유용곤충과)
  • 김종길(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유용곤충과)
  • 최영철(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유용곤충과)
  • 남성희(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유용곤충과)
  • 김원태(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유용곤충과)
  • 박병도(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유용곤충과)
  • 황석조(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유용곤충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