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차세대 Barrier 물질 개발 동향 KCI 등재

A Practical Engineering for Advanced Barrier Materials: A Brief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43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고분자의 용이한 가공성과 우수한 투명성, 그리고 합리적인 비용 효율로 인해 식품 포장 산업에서 금속이나 유리용기들을 고분자 기반의 포장 소재들로 대체하려는 경향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지고 있다. Barrier 고분자들은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 대기 가스에 대한 낮은 투과성을 나타내고 있어 식품 포장 산업 이용에 유용하다. 이러한 식품 포장 산업의 전반적인 추세와 함께, 산소에 민감한 주스, 착향 음료, 그리고 에너지 음료 등 새로운 식품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고성능의 barrier 특성, 특히 O2와 CO2에 대해 낮은 투과성을 지닌 고분자 포장 소재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기존의 고분자에 기반한 barrier의 성능 향상은 새로운 식품 포장 산업에 급격한 변화를 줄 것이다. 본 총설에서는 (1) antiplasticization을 유도한 barrier 소재들, (2) antiplasticization과 crystallization을 사용한 barrier 성능 상승 효과, (3) 새로운 barrier 고분자들, (4) 나노합성 소재, (5) 혼합 고분자 등과 더불어, 차세대 포장 소재들의 특성 분석을 소개하고자 한다.

A global trend of replacing metal or glass containers with polymer-based packaging materials has been prevalent in the food packaging industry due to their ease in processibility, excellent transparency, and good cost efficiency. Barrier polymers tend to show low permeabilities for atmospheric gases such as oxygen, carbon dioxide, and water vapor, which allow them to be utilized in the food and beverage packaging industry. With the current global trend, expansion of polymeric packaging materials to new markets such as oxygen sensitive juices, flavored water, and energy drinks requires improved CO2 and O2 barrier properties.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polymer-based barrier platform will enable a rapid market impact. In this paper, the current barrier technologies such as (1) antiplasticization-induced barrier materials, (2) synergistic effect of antiplasticization and crystallization, (3) new barrier polymers, (4) nanocomposite materials, and (5) polymer blending are introduced with their characterization techniques for the development of advanced packaging materials

목차
1. Introduction
 2. Recent Advances of Barrier Materials
  2.1. Antiplasticization-induced barrier materials
  2.2. Synergistic effect of antiplasticizationand crystallization
  2.3. New barrier polymers
  2.4. Nanocomposite materials
  2.5. Polymer blending
 3. Conclusions
 Acknowledgements
 Reference
저자
  • 안희성(한국과학기술연구원) | Hee Seong An
  • 이종석(한국과학기술연구원) | Jong Suk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