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구기자나무 유전자원의 구기순 관련 형질 특성검정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766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구기자나무는 열매, 잎, 뿌리 등 이용부위가 다양한데 지표성분인 베타인이 구기순과 잎에도 존재한다. 중국에서는 열매가 달리지 않고 줄기만 자라는 Ningqi vegetable No. 1을 육성하였고, 각종 요리에 상용하고 있다. 따라서 구기순을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맹아력이 왕성하고 순이 굵으면서 잎이 넓은 계통을 선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청양구기자시험장에서 보존하고 있는 구기자나무 유전자원 143계통에 대하여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구기순은 맹아되는 새순을 10cm 길이로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구기순의 엽형지수는 0.37 ± 0.068로 피침형이었고, 베타인 함량은 평균 2.8 ± 0.89%이었으며, 대한약전에서 규정한 0.5%(열매)보다 높았다. 잎 폭은 길이나 두께에 비하여 변이계수가 높았고, 구기순의 건조 무게는 줄기 굵기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월 2일에 채취한 구기순의 베타인 함량과 8월 24일에 채취한 잎의 베타인 함량을 분석한 결과 두시기 모두 베타인 함량이 높은 계통으로 IT232687, 232711, 232648 등 3계통을 선발하였다. 또한 두시기의 베타인 함량에 대한 단순상관을 분석한 결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생육초기에 베타인 함량을 분석하여 그 함량이 낮은 계통을 조기에 도태하는 것으로 육종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기순의 건물중이 높고 베타인 함량이 높은 계통으로 IT232589, 232648, 232676, 232679, 232705등 5계통을 선발하였고, 앞으로 구기순 생산 전용품종을 육성하기 위한 육종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저자
  • 주정일(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주저자
  • 윤덕상(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 박영춘(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 서정석(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 이보희(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 이봉춘(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 김현호(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