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불임성 억새 품종육종을 위한 종별 개화 특성 및 임성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77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억새(Miscanthus spp.)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대표적인 섬유질계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로 다년생 C4 식물이며 배수성이 다른 유전자원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자연 생태계 교란 방지를 위해 종자번식 억새의 재배 를 규제하고 있어 불임성 억새 품종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국내 수집 1,500여 종의 유전자원 중 재배년수가 비슷한 물억새 518점, 참억새 297점 등 총 815점을 대상으로 불임성 억새품종 육종에 필요한 종별 개화 특성을 조사 하였다. 억새의 자가불화합성은 물억새 3종, 참억새 3종 및 3배체 억새 이삭에 봉지를 씌워 개화 후 이삭의 지경수, 총영수 및 결실 종자수를 조사하였다. 억새 유전자원의 개화기(FS3)까지의 전체 생육일수 210일에서 220일 사이 에 개화하는 물억새는 전체의 80% 이상, 참억새는 56%였다. 또한 억새 유전자원의 자가불화합성을 검토한 결과, 자연수분 조건에서 참억새의 임실률은 45.7%인 반면, 봉지를 씌운 참억새의 임실률은 8.3%로 매우 낮았다. 한편, 2배체 참억새와 4배체 물억새 종간 교잡종으로 알려진 3배체 억새는 자연수분 조건에서도 임실률이 0.9%로 매우 낮아 기존 보고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저자
  • 안종웅(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주저자
  • 안기홍(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김석(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장윤희(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엄경란(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유경단(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문윤호(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차영록(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윤영미(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양정우(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최인후(전남 무안군 청계면 무안로 199,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