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항산화 성분 고함유 호박종자 자원 선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78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채소종자는 채소생산을 주목적으로 사용되고 생산목적 이외의 활용도가 매우 낮은데 그 이유는 채소종자는 부산 물로 인식되어 대부분 폐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채소종자 중 호박, 수박 등의 박과채소 종자는 중국, 미국, 유럽 등지에서 간식, 식용유, 에센셜오일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호박씨의 경우에는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이 풍부 하며, 머리를 좋아지게 하는 레시틴과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들어있고 파미틴산과 같은 지방산은 비만을 방지하고 암이나 동맥경화 등 성인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박 유전자원의 종자를 대상으로 유용한 항산화 성 분이 높은 자원을 선발하여 호박자원의 활용성과 부가가치를 향상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호박 유전 자원 58점의 종자에 대한 항산화 활성(DPPH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항산화성의 범위가 30.1~77.2%이었으며 평 균 44.7%이었고 60% 이상인 자원이 전체의 19%를 차지하였다. Total phenol 함량에 있어서는 함량범위가 건물중 6.1~81.2 mg/100g이었으며 평균 26.2 mg/100g이었고 40 mg/100g이상인 자원이 전체의 83%를 차지하였다. Total Flavonoid의 함량은 그 범위가 건물중 22.2~74.8 mg/100g이었으며 평균 41.3 mg/100g이었고 50 mg/100g이상인 자 원이 전체의 31%를 차지하였다. 항산화 활성(DPPH 소거능)이 47.6% 이상인 ‘P54’ 등 16계통, total phenol 함량이 30 mg/100g 이상인 ‘P38’ 등 13계통, total flavonoid함량 45 mg/100g 이상인 ‘P38’ 등 15계통을 선발하였으며 선발된 자원은 다양한 종자크기와 종피색을 보였다. 선발된 호박 유전자원 중 ‘P54’ 등 7점은 동시에 항산화 활성, total phenol 및 total flavonoid 함량이 높은 자원이었다.

저자
  • 이우문(경기도 수원시 이목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주저자
  • 이희주(경기도 수원시 이목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양은영(경기도 수원시 이목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최학순(경기도 수원시 이목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김수(경기도 수원시 이목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채수영(경기도 수원시 이목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허윤찬(경기도 수원시 이목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박동금(경기도 수원시 탑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도시농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