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KCI 등재

Implications of Jacques Lacan’s Psychoanalysis for Moral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1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자크 라캉이 제시한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에서 자아가 주체로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한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크 라캉이 제시한 사유의 첫 세계는 상상계이다. 상상계에서 자아는 거울 속의 이미지에 자신을 동일시하며 형성된다. 착각과 오인의 구조에서 형성된 자아는 공격적 성향을 갖게 되고, 나르시시즘의 성향을 갖게 된다. 자아는 오이디푸스 과정을 겪으며 상징계의 주체로 거듭나게 된다. 자아는 아버지의 이름을 받아들이며 법과 규범, 언어의 구조로 되어 있는 상징계에 진입하게 되고 주체화된다. 자아가 상징계로 진입하며 주체가 되는 과정에서는 어쩔 수 없이 소외가 일어나고 주체는 분열된다. 분열된 주체는 상징계에 진입하면서 상실된 자신의 존재 일부를 찾으려는 욕망을 갖게 되고 상징계에서 끝없이 이를 추구한다. 주체가 잃어버린 존재의 일부가 상징계에서 나타나는 찰나의 순간, 그 공간을 라캉은 실재계라 칭하며, 욕망은 실재를 향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자크 라캉이 제시하는 이론은 욕망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바꾸게 하며, 진정한 주체의 형성을 위한 과정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인간의 사유를 요구한다. 실재를 향하는 욕망은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주체는 끊임없이 실재를 향하는 욕망의 연쇄가 계속됨에도 상징계를 넘어서는 것이 불가능한데 오직 환상 속에서 대상을 ‘물(ding)’의 위치에 고양시키는 체험적 승화가 가능하다. 라캉의 승화는 ‘물’을 지향하는 욕망의 절대성이며, 새로운 것의 창조이다. 새로운 창조를 낳으며 예술을 가능하게 하는 라캉의 승화는 미학에서 논의되는 경우가 많지만, 도덕교육의 측면에서 볼 때 그 의미는 더 확실해진다고 할 수 있다. 도덕교육의 영향으로 인간의 내면에서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정서가 만들어지며 그로 인해 삶의 한 측면이 아닌 삶 전체가 변화되고 영향을 받게 되는 도덕적인 변화야말로 라캉이 가리키는 승화의 의미에 가장 부합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라캉의 정신분석학은 기존의 교육에서 욕망이나 욕구에 대한 명확한 구분 없이 두 가지 모두 절제되어야 더 아름다운 인간의 본능적인 면이라 생각되던 부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도덕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가능하게 하며, 인간의 주체 형성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면서 도덕교육에 시사한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looked deeply into how an ego forms as a subject in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world that Jacques Lacan proposed and has a purpose of find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process. The first world that Jacques Lacan proposed was the imaginary world. In the imaginary, the ego formats itself equates as the image reflected by the mirror. The ego that was formed from an illusion and misconception has tendency to be aggressive and also has tendency of narcissism. The ego goes through the process of the Oedipus and reforms into the symbolic subject. The ego receives the father’s name and enters the symbolic world of law, norms, and language structure and becomes subjective. Segmented ego desires for its parts of existence that was lost when the ego entered the symbolic world and pursuits it endlessly in the symbolic world. The moment when the part of existence that was lost appears in the symbolic world, Lacan names the real world and emphasis that the desire is headed to realistic. The theory that Jacques Lacan shows changes the existing awareness of desire and induces the human’s thoughts of process of forming a genuine subject. The desire heading to realistic does not fully satisfies so the desire chain that headed to realistic is also impossible, but experience sublimation is possible to enhance the object in “thing” position only in fantasy. The sublimation of Lacan is absolute desire aiming for “thing” and it is a new creation. Many discussions appear in aesthetics about Lacan’s sublimation that creates new creations and makes art possible but the meaning becomes certain on the moral education side. The influence of the moral education created new emotion inside of a human that was not existed before and because of that, not just one side of life but the whole life changes and gets influences in moral changes is the most coincident with the meaning of sublimation that Lacan indicates. Lacan’s psychoanalysis provides new interpretation of desire that existing education thought as virtue of temperance and makes possible to new attempts and provides a theory of human’s subject formation which implied a great deal in mor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주체 형성의 과정
  1. 상상계(the imaginary)
  2. 상징계(the symbolic)
  3. 실재계(the real)
 Ⅲ. 라캉 정신분석학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1. 욕망의 재해석
  2. 응시와 승화의 윤리
 Ⅳ.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지연(한국교원대학교)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