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 관계특성,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구조 분석: 2013년 서울소재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ional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ation in Middle School: Focused on the First-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2013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18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특성, 수업만족 등 관련 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집한 2013년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자료 가운데 2013년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중학생들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등 심리적 특성이 긍정적일수록,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도 높았다. 둘째,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는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었으며, 이러한 관계요인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특성과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개인적 특성들은 수업만족에는 직접 효과를 나타냈으나 학교생활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 특성, 수업만족 요인들 가운데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관계 특성요인, 수업만족 요인, 심리적 특성 요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들과 함께 논의하였으며, 학교생활 적응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first-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2013.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established a structural model which includ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elf-esteem, selfcontrol, self-resilience) as exogenous variables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school, peer, teacher), the school adaptation(school climate, school satisfaction), and instructional satisfaction(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as endogenous variabl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26(2013) middle school students. The goodness of model-fit was evaluated to meet the recommended criterion of RMSEA, GFI, and CFI.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able variables for school adaptation. Relational characteristic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adaptation. And also, instructional satisfaction didn't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ntervention mechanism for school adaptation and also considerations for relational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ar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심리적 특성
  2. 관계 특성
  3. 수업만족과 학교생활적응
  4. 학교생활적응
  5. 심리적 특성·관계특성·수업만족·학교생활적응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측정도구
  2. 분석방법
  3. 연구모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연구변인 상관관계 분석
  2. 심리적 특성, 관계 특성, 수업만족과 학교생활적응 간 구조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권순달(수원대학교)
  • 이현주(배재대학교)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