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 거림계곡 구상나무 개체군의 고도별 식생변화와 생장특성 KCI 등재

Vegetation Change and Growing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Population by Altitude in Georim Valley of Mt. Jir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5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지리산 구상나무 개체군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해발고별 구상나무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생육환경을 분석하였다. 지리산 거림계곡의 해발 1,000m에서 1,500m까지 6개의 조사구(400㎡)를 설치하여 분석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 구상나무는 site Ⅴ, Ⅵ에서 가장 높은 중요치를 나타냈으며 그 외 조사구에서는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교목층에서는 site Ⅵ에서 구상나무가 가장 높은 중요치를 나타냈으나 다른 조사구에서는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하는 낙엽활엽수의 중요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흉고직경급(10cm 이하, 11-20cm, 21-30cm, 31cm 이상) 분포에서 구상나무는 전 직경급에서 고르게 분포하는 J자형의 분포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2000년 이후 구상나무의 연륜생장량은 site Ⅰ, Ⅱ, Ⅲ, Ⅳ, Ⅴ, Ⅵ에서 각각 1.002, 0.996, 1.752, 1.850, 1.198, 0.984 mm/yr로 site Ⅲ을 제외하고는 전체 연륜생장량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preservation and reasonable management plan of Abies koreana population, vegetation structure and growing condition by altitude were analyzed. Six sites(400 ) were set up along the Georim valley in Mt. Jiri from 1,000m to 1,500m. The importance value of A. koreana in tree layer was the highest at 1,400m(site Ⅴ) and 1,500m(site Ⅵ), and that of Quercus mongolica in the other site was high. In subtree layer, the importance value of A. koreana was the highest at site Ⅵ which located at 1,500m above the level of the sea. In DBH distribution, A. koreana population distributed evenly at all DBH class(below 10cm, 11-20cm, 21-30cm, above 31cm). Since 2000, the amount of tree-ring growth of A. koreana at site Ⅰ, Ⅱ, Ⅲ, Ⅳ, Ⅴ, and Ⅵ were 1.002, 0.996, 1.752, 1.850, 1.198, 0.984 mm/yr, which has decreased slowly in time for 2000, except site Ⅲ.

저자
  • 김창환(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Chang-Hwan Kim
  • 조민기(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in-Gi Jo
  • 김종갑(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ong-Kab Kim
  • 최명석(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yung-Suk Choi
  • 정재민(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Jae-Min Chung
  • 김지홍(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Ji-Hong Kim
  • 문현식(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un-Shik M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