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해안 방풍림의 식생구조 및 관리 방안 KCI 등재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5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서해안 주요 개 방풍림의 식생구조를 8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새만금 유역의 방풍림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8개 방풍림에 출현하는 식물은 총 25과 40속 4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교목층은 모두 곰솔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수종의 단층구조를 보이는 방풍림은 2개소이며, 단일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된 방풍림은 2개소였으며, 4개 방풍림은 여러 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기능적으로 안정적인 방풍림의 구조는 수직적으로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이 모두 존재하는 복층구조가 적합하며, 수평적으로는 교목은 내륙 쪽에 관목은 해안쪽에 식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단순림보다는 침엽수와 상록활엽수를 함께 혼합하여 식재하는 혼효림이 방풍림 기능의 효과를 더 향상시킬 것이며 병해충에 대한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about making windbreak forest around Saemanguem reclaimed lands by analyzing the vegetation structure of 8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and considering the methods of structural improvement. The total plants existing in the study areas were 25 families 40genus 43 species, and every tree layer consisted of only one tree species, Pinus thunbergii. There were 2 windbreak stands consisted of a species, and 2 consisted of multiple layer with a species. While, 4 windbreak stands consist of various species with several species. To make ecological system and functions of windbreak forests stabler, TL, STL and SL should be together in the vertical point, moreover, TL should be appeared at the in side and SL should be planted at the out side in the horizontal point. It is considered that mixed stand forest might be suitable for increasing the windbreak forest's functions and decreasing damage caused by disease and insects.

저자
  • 김현준(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Hyun-Jun Kim
  • 정성훈(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Seong-Hun Jeong
  • 황창혁(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Chang-Hyuk Hwang
  • 김현(전북산림환경연구소) | Hyun Kim
  • 최수민(남부산림연구소) | Soo-Min Choi
  • 이상현(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Sang-Hyu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