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추 탄저병 (Colletotrichum acutatum) 방제를 위한 Streptomyces padanus IA70-5의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Streptomyces padanus IA70-5 Strain to Control Hot Pepper Anthracnose (Colletotrichum acutat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5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고추에 큰 피해를 일으키는 탄저병에 대한 강한 길항력이 있는 세균을 선발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식물뿌리 시료로부터 분리하여 보관중인 세균들을 대상으로 검정에 사용하였다. 총 457균주로부터 IA70-5균주를 최종 선발하였고,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Streptomyces padanus로 동정하였다. S. padanus IA70-5는 색소를 분비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전형적인 Streptomyces속에 속하는 세균들처럼 나선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S. padanus IA70-5 균주는 in vitro에서 Colletotrichum acutaum의 균사생장, 포자발아, 그리고 부착기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실내 고추 과실에 대하여 병원균 접종 전 IA70-5 배양액 처리 시 약 90%의 탄저병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길항방선균 S. padanus IA70-5는 고추 탄저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o select bacterial strains wit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n anthracnose fungal disease causing damage severely on hot pepper, previous isolates obtained from plant root samples were screened. Among 457 isolates, IA70-5 isolate was finally selected and identified as Streptomyces padanus based on 16S rDNA sequence analysis. Strain IA70-5 is non-pigmenteous, non-mobile, and filamentous. S. padanus IA70-5 inhibited effectively the mycelium growth, spore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of Colletotrichum acutatum in vitro.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A70-5 strain, especially applied on fruit of hot pepper, decreased disease incidence 90% for pre-inoculation before pathogen treatment. Taken together, S. padanus IA70-5 strain is a promising biological control agent to control of a major fungal pepper disease, anthracnose.

저자
  • 쩐티펑지(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Tran Thi Phuong Chi
  • 최옥희(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Okhee Choi
  • 곽연식(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un-Sig Kwak
  • 손대영(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aeyoung Son
  • 이증주(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eung Joo Lee
  • 김진우(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inwo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