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토처리의 높이가 한국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Topdressing Height on The Growth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5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배토작업에 따른 한국잔디의 적정 밀도와 질을 유지하기 위한 배토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배토를 하지 않은 처리구와 배토높이 2, 4, 8과 16 ㎜ 처리구를 비교한 결과, 초장, 지상부, 포복경과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포복경과 지상부의 개수는 배토높이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전량질소, 전량인산, 전량가리, 전량고토, 전량석회도 배토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배토높이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토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배토처리구에서 산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알칼리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기물 함량, 전질소, 치환성양이온(K+, Na+, Ca2+, Mg2+)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효인산은 감소하였다. 배토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배토처리구에서 잔디의 생육이 증가하고, 밀도율이 높았으며, 토양 화학성도 양호하게 변화하였다. 배토높이에 따른 효과는 8 ㎜에서 토양내 유기물 함량과 전질소가 가장 높았고, 생육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아 한국잔디에 대한 적정 배토높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opdressing on maintaining the quality and density of zoysiagrass. An increase in the topdressing height from 2 ㎜ to 16 ㎜ (2, 4, 8, and 16 ㎜) led to an increase in the plant heigh, fresh and dry weight of shoots, roots, and stolons. The number of shoots, stolons and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nd carotenoid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topdressing height. Moreover, total concentrations of nitrogen, phosphoric acid, potassium, magnesium, and lime in shoots and roots were enhanced as topdressing height increased. Acidity and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s, total nitrogen, and exchangeable cations (K+, Na+, Ca2+, and Mg2+) of topdressed soil was higher than not topdressed soil, while the amount of available phosphoric acid in topdressed soil was lower than not topdressed. The topdressed soil enhanced the growth and density of zoysiagrass, while it was a crucial factor to affect the chemical property of the soil. Optimum topdressing height was thought to be 8 ㎜ since topdressing the soil with topdressing height of 8 ㎜ not only improved the growth of zoysiagrass but also resulted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itrogen and organic matters in the soil.

저자
  • 배은지(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Eun-Ji Bae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Kwang-Soo Lee
  • 박남창(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Nam-Chang Park
  • 허무룡(경상대학교 원예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oo-Ryong Hu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