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폴리아닐린을 함유한 도전성 복합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2) KCI 등재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Conductive Composite Films with Polyaniline(2)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0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생분해성 고분자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를 매트릭스로 용액 중합된 HCl이 50% 정도 도핑된 PAni를 첨가하여 도전성 PCA 복합 필름을 제조하여 기계적, 전기적 특성 및 표면 morphology를 고찰하였다. PCA 복합 필름의 인장강도는 PAni 함유량 5 wt% 인 경우 순수 CA 필름(377.1 kgf/cm2)에 비해 27% 정도 감소된 275.2 kgf/cm2를 나타내었으며, 신율도 7.65%에서 4.35% 정도로 감소하였다. 표 면저항은 PAni의 함량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PAni 함유량이 5 wt%인 PCA05의 경우 7.0x109 Ω/sq로 정전기 방지용 필름으로 사용이 가능할 정도였다. 표면 정전기량의 소멸 속도도 PAni 함량에 따라 비례 하여 빨라짐을 확인하였다. PCA 복합 필름의 열적 안정성은 PAni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분해온도가 낮 아졌으며, 최종 재(char)의 함량은 PAni의 함량에 비례하였다. 최종 재의 함량을 이용하여 미지의 PCA 복합 필름 중의 PAni의 분율을 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50 mole% HCl doped polyaniline(PAni) was synthesized by polymerization of aniline in the presence of hydrochloric acid and ammonium persulfate(APS) as dopant and oxidant, respectively. Then, conducting biodegradable cellulose acetate composite films were also prepared with PAni in acetone to find their applicability to antistatic packaging materials.
The tensilestrength of PCA05 film with 5 wt% of PAni was decreased by 27% from 377.1 kgf/cm2 for CA film itself to 275.2 kgf/cm2. Elongation was also decreased from 7.65% to 4.35%. Surface registance of 7.0x 10-9 Ω/sq could be achieved for the PCA containing 5 wt% of PAni. Therefore, this PCA05 film can be applied to antistatic package film for electronic board. In addition,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se PCA films obtain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was decreased with the amount of PAni in PCA films, and the final weight of char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PAni contents. From this thermal result we can calculate the content of PAni in unknown PCA films.

목차
1. 서 론
 2. 실 험
  2.1. 시약
  2.2. PAni의 합성
  2.3. PAni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의복합 필름(PCA)의 제조
  2.4. 분석기기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PAni의 합성 및 특성
  3.2. PAni와 CA의 복합필름(PCA)의 기계적물성
  3.3. 열적 안정성(TGA)
  3.4. 표면 정전기 측정
  3.5. PCA의 전기적 특성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수(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 Soo Lee Corresponding author
  • 성은숙(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 Eun-Suk S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