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림치유 이용자의 자연연관성, 감정, 각성상태가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50대 여성을 중심으로- KCI 등재

Influence of Forest Healing User's Nature Relatedness, Emotion, Arousal State on Stress Recovery -focused on Women in their 50'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14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산림치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숲이 인간의 건강, 정서와 마음 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런 효과는 개 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선행연구를 조사한 결과, 개인적 특성인 자연연관성, 부정적 감정 그리고 각성 상태가 스트레스 회 복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 여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을 반영하는 심박변이도와 이 변수 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50대 여성 27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 며 숲길을 걸었을 때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데이터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자연연관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감정 이 낮을수록, 그리고 각성 수준이 낮을수록 자율신경계의 안정을 나타내는 부교감신경이 보다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 활 동을 할 때, 긍정적 감정으로 자연과 적극적으로 교감한다면 산림 치유 효과가 보다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A large body of works in forest healing has shown that forest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human health, emotion and mind. However, the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are not universal; some people were effectively relieved from stress, whereas others were not, although they were commonly exposed to the same natural environment. We hypothesized that differential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among individuals are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ir arousal status, Nature Relatedness (NR), and negative emotion. To test thi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ological change related to stress and these variables. A group of 27 women (ages ranging from 51 to 59) peopl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ir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measured to validate stress response, and Profile of Mood States and Nature Relatedness Scale wer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s the level of NR increased, the values of LF/HF in HRV decreased, indicating that the activation of parasympathetic nervous increased. By contrast, the level of arousal status and depression moo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LF/HF.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forest visitors would actively interact with nature in positive emotion, restorative effects could increa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실험 장소
  4. 실험방법 및 절차
  5. 분석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자연연관성, 감정, 각성 상태, 운동강도의 실험결과
  2. 심박변이도 LF/HF의 변화
  3. 감정 상태와 LF/HF 변화의 관계
  4.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Ⅳ. 적요
 Ⅴ. References
저자
  • 이용주(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Yong Ju Lee Corresponding author
  • 신창섭(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Chang Seob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