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 이해를 위한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배려, 다문화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Educational Gardening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Car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Attitud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15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다문화 가정 아동이 아닌 일반가정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매뉴얼’을 일 반화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에 서 개발한‘다문화 통합교육용 원예활동 매뉴얼’(NAFC, 2008)에 근거하여 자아존중감 모형 8회기, 공감과 배려 모형 6회기로 총 14 회기의 다문화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범주의 자아정체성, 자기애 와 이기심의 구분, 자아실현 3개의 내용요소로, 공감과 배려 범주의 sympathy 와 empathy, 존중에 근거한 배려, 편견과 차별 3개의 내 용요소로 구성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7명(남 15명, 여 12 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 고 자아존중감, 배려, 다문화 이해, 다문화 태도 사전-사후 설문 검 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자아 존중감(t=5.68, p=0.0000), 공감과 배려(t=3.04, p=0.0026), 다문 화 이해(t=6.92, p=0.0000), 다문화 태도(t=8.14, p=0.0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초등 학생의 자아존중감, 배려, 다문화 이해, 다문화 태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고. 본 프로그램이 단기적인 활동이었기 때문에 배려의 하위 영역인 행동적 영역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onducted to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al gardening activity program through analysis of effect to general family’s children not the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to inform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al gardening activity manual. To achieve these goal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al gardening activity program has been reconstituted based on multicultural integrated educational gardening activity manu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FC, 2008)) has developed. 14 sessions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al gardening activity program(self-esteem model 8, caring model 6) was conducted. Self-esteem model is made up of selfidentity, classification of self-love and self-interest, self-realization. Caring model consists of sympathy & empathy, caring based on respec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 total of 27 students (male 15, female 12) in the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were sampled for a pre-post survey intended to compare their changes of self-esteem, car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attitude. The survey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are as follows.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t=5.68, p=0.0000), caring (t=3.04, p=0.0026),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6.92, p=0.0000), multicultural attitude (t=8.14, p=0.0000) had increased. Following results those finding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al gardening activit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car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attitude. This program had not effect on the scale of conductive domain. That is the reason why this program was short-term activ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설계
  3. 연구 프로그램 내용
  4. 측정도구
   1) 자아존중감 설문지
   2) 공감과 배려 설문지
   3) 다문화 이해 설문지
   4) 다문화 태도 설문지
   5) 학습지
  5. 연구 방법
   1) 양적 분석
   2) 질적 분석
 Ⅲ. 결과 및 고찰
  1.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2.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공감과 배려에 미치는 효과
  3.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다문화 이해에 미치는 효과
  4.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효과
  5. 다문화 이해교육용 원예활동에 대한 학습지 분석 결과
 Ⅳ. 적요
 Ⅴ. References
저자
  • 곽혜란(서울교육대학교) | Hyeran Kwack
  • 한고운(고려대학교) | Koh Woon Han Corresponding author
  • 최종숙(서울여의도초등학교) | Jong Suk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