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용해된 시멘트 분말이 붕어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Dissolved Cement Powder on Carassius aurat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3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시멘트 노출에 따른 어류 조직의 형태 생리적 변화를 분석하여 용해된 시멘트 분말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용해된 시멘트 분말에 노출된 아가미는 일차새변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염세포와 점액세포도 두드러지게 활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차새변의 새엽에서는 상피세포의 증식과 박리 및 곤봉화 현상도 관찰되었다. 신장 조직에서는 보우만 주머니 공간이 넓게 관찰되었고, 표피 조직은 표피층의 두께가 감소하며 진피층의 배열이 불규칙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항산화효소와 LDH의 활성은 조직 및 노출 기간에 따라 활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피 조직에서 용해된 시멘트 분말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단백질은 해당과정과 에너지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확인되었고 발현이 저하된 단백질들은 근수축에 관여하는 근섬유 구성 단백질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용해된 시멘트 분말은 붕어 조직의 형태적 변형과 생리적 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여 어류의 생존에 커다란 위협이 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ffect of dissolved cement powder on Carassius auratus by analysis of the morphophysiological changes. The gill exposed to dissolved cement powder showed the thickened primary lamellae and the activity of chloride cells and mucous cells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proliferation, separation and clubbing of gill filament was observed in the secondary lamellae. In the kidney tissue, the space in Bowman's capsule was widen and the arrangement of dermis was irregular due to the thinned epidermis in the integument tissue.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and LDH tended to increase with the duration of cement expos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up-regulated proteins were identified as involved in glycolysis and energy metabolism and down-regulated proteins were myofibrillar proteins which were involved in muscle contraction by the cement exposure to the integument. With these results, dissolved cement powder was thought to be a big threat to the survival of the fish because it causes the morphological changes and weakens the physiological activity in C. auratus tissues.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어 및 시멘트 노출   2. 조직 관찰   3. 항산화효소와 LDH 활성 및 LDH isozyme패턴 분석   4. 단백질체 분석   5. 통계처리  결 과   1. 아가미, 신장 및 표피 세포의 조직학적 변화   2. 항산화효소 활성과 LDH의 활성   3. LDH isozyme 패턴 분석   4. 스트레스 단백질의 단백질체 분석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신명자(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Shin, Myung-Ja
  • 이종은(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이종은
  • 서을원(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서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