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금강하류의 어류상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섭식길드 파악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in the Lower Geum River and Identification of Trophic Guilds using Stable Isotopes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3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먹이망 연구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금강 하류에서 출현한 어류만을 대상으로 어류상, 담수역과 해수역에 출현하는 어류의 안정동위원소 차이, 담수어류의 섭식길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강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하구둑 기준 상류 20 km, 하류 10 km 구간에서 채집된 어류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섭식길드의 분석은 담수어류만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해 보고된 섭식길드의 적절성 여부를 판별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하구둑 상류와 하구둑 하류의 어류상은 완전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부 회유성 어종 (웅어, 가숭어)들만 양측에서 모두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동위원소 분석에서도 하구둑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에 서식하는 종들의 수치가 완전히 다르게 나타났다. 하구둑 하류에서 채집된 개체들의 경우 기수 및 해양 기원의 먹이를 선호하고 담수종의 경우 담수 기원의 먹이를 선호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일부 회유성 종의경우 담수에서는 해수 신호가 해수에서는 담수신호가 감지되었는데 이는 생태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판별분석 결과 섭식길드는 문헌과 약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개체 발생 단계에 의한 결과일 것으로 판단되며,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안정동위원소의 경우 지역, 시기, 발생단계에 따라 동일 종이라 할지라도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항상 고려하여야 하며, 가능하다면 지역별로 개체를 분석하여 섭식길드를 제시하는것이 지역의 어류와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Fish fauna, difference of stable isotope ratio between freshwater and seawater, and trophic guilds of freshwater fishes were investigated in the lower Geum River.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11, and total study area was about 30 km of 20 km upstream and 10 km downstream from the Geum River estuary barrage. Only freshwater fishes were used for analyzing trophic guilds,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was utilized to reclassify trophic guilds based on stable isotope ratio. Fish fauna in freshwater and seawater areas were entirely different each other, but small number of migratory species such as Coilia nasus and Chelon haematocheilus occurred both areas. Other species were not collected in the different areas because they did not have physiological ability to adapt different salinity concentrations. Stable isotope ration of two areas were different considerably due to food sources. Estuary and seawater fishes uptake food sources originated from marine, and freshwater fishes were from freshwater and terrestrial. Some migratory species showed reverse stable isotope ratio. Even though they collected in freshwater, they showed stable isotope ratio of seawater. This is becaus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es. Trophic guilds of freshwater fishes were reclassified by DFA, and showed slight difference with literatures. However, because this result is related with ontogenetic shift of species, more studies are needed to explain exact and correct trophic guilds. Stable isotope ratio can be changed among regions, seasons and ontogenetic stage, thus we always consider these aspects when analyzing results to get a right answer.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 개황 및 어류 채집   2. 안정동위원소 분석   3. 데이타 분석  결 과   1. 어류상   2. 조사지점별 출현 어류의 안정동위원소 비교 및출현 담수어류의 섭식길드  고 찰   1. 금강 하류역의 어류상   2. 안정동위원소 분석  적 요  사 사  REFERENCES
저자
  • 윤주덕(공주대학교 생물자원센타) | Yoon, Ju-Duk
  • 박상현(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박상현
  • 장광현(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장광현
  • 최종윤(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종윤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주기재
  • 남귀숙(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남귀숙
  • 윤조희(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윤조희
  • 장민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장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