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카자흐스탄 구리 슬래그의 광물학적, 화학적 특성 및 구리와 철의 용출 특성 KCI 등재

The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lag from Kazakhstan and Leaching of Cu and 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4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구리 슬래그에 대한 광물학적 및 화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 SEM/EDS, EPMA, AAS 및 XRD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 슬래그가 Cu의 잠재적인 금속자원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황산 용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슬래그에는 철감람석, 크롬철석, 반동석과 황 동석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침상의 철감람석과 뼈대구조의 자형 크롬철석이 주로 슬래그 를 형성하고 있으며 많은 양의 반동석과 황동석이 포함되어 있었다. 슬래그에 Fe와 Cu가 각각 18.37%와 0.93%로 함유되었다. 황산 용출-실험을 수행한 결과, 용출액의 농도와 용출온도가 증가할수 록, 입도가 감소할수록 Cu와 Fe 용출률은 증가하였다. 본 실험조건하에서는 Cu와 Fe가 최적으로 용출 되는 조건은 32 mesh에서, 2.0 M의 황산농도에서 그리고 용출온도 60℃에서였다. 따라서 향후, 용출 규모를 증가시킨다면 슬래그는 구리의 잠재적 대체금속자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In order to study the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pper slag, optical microscopy, SEM/EDS, EPMA, AAS and XRD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addition, sulfuric acid leach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the slag as a copper resource. It was confirmed that fayalite, chromite, bornite and chalcopyrite were contained in the slag. The slag mainly consisted of acicular fayalite and skeletal lath -euhedral chromite crystals. Also a very large amount of bornite and chalcopyrite grains were contained in the slag.
The content of Fe and Cu in the slag was 18.37% and 0.93%, respectively. As a result of sulfuric acid leaching experiments, the leaching rates of Cu and Fe were increased through decreasing the slag particle size, increasing the sulfuric acid concentration and the leaching temperature. The maximum efficiency of Cu and Fe leaching were obtained under the conditions of particle size of 32 mesh, sulfuric acid concentration of 2.0 M, and leaching temperature of 60℃.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slag could be available as a potential and alternative resource of metallic copper.

목차
서 론
 실험 재료 및 방법
  시료
  용출실험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슬래그의 광물학적 및 화학적 특성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김봉주(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Bong-Ju Kim
  • 조강희(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Kang-Hee Cho
  • 신승한(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Shin Seung-Han
  • 최낙철(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 Nag-Choul Choi
  • 박천영(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Cheon-Young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