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以普通話・粵語或粵普雙語作為教學語言對香港小一學生識字的影響 KCI 등재

A Study of the Impact on Different Media of Instruction (Putonghua, Cantonese and Diglossia)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 in Primary One in Hong Kong

이보통화・월어혹월보쌍어작위교학어언대향항소일학생식자적영향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4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홍콩에서 시행되는 언어교육 정책에 따라 중문과에서는 보통화와 광동어 중 어 떤 언어도 자유롭게 선택하여 교육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문헌 연구 를 통해, 보통화만 사용하는 경우, 광동어만 사용하는 경우와 보통화와 광동어를 혼용하는 경우에 따라 15개의 언어교육형식을 설계하였다. 동일 소학교의 5개 소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언어 학습 교육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 발전에 대한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개의 안과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삼각 논증의 방식으로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질적 연구 방면으로는 교실 수업 분석과 교사와 학생 면담자료 등 다양한 개별 측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영 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한자 능력 발전과 학습 흥미와 동기에 미치 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한자능력에 대한 시험은학교와 가정, 사회의 세 개의 범주로 나누어, 학생들이 특정한 시험 시간에 사용하는 심리적 어휘를 측정하였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동일하지 않는 교육 언어 형식은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의 발전 전체에 모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로지 동일하지 않은 교육 언어를 사용한 반에서도 반별로 학생들의 한자능력의 발전에서도 각기 다른 표현 이 보였다. 방문면담의 결과를 취합하고 새로 적용한 후 시행한 2차 측정에서 이 미 이 결과를 알고 있는 교사는 서로 다른 교육 언어로 한자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사의 교육 목표, 교육 전략, 교육 시간의 설정과 배분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학 생들 또한 한자습득 능력의 발전과 어문 교육의 흥미도에 영향을 받아 이전과는 다른 현상을 보여주었다.
요컨대 본 연구를 기초로 삼아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 뿐 아니라, 본 연구의 성과가 언어 교육의 정책 결정자와 교사들에게 참고가 되어 향후 중문과 교육의 교육 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Under the current policy of medium of instruction, schools in Hong Kong may use either Cantonese or Putonghua to teach Chinese Language subject. In this research, different media of instruction have been design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were imposed in five classes of primary one student studied in the same school.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n using Putonghua, Cantonese or diglossia as the medium of instruction in Chinese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petence in Chinese Characters.
Data were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validated and checked for consistency using triangulation. Quant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via quasi-experimental study and questionnaire surveys to examine th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hinese Characters competence as well as students’ learning. Qualitative analyses were executed via multiple case studies, classroom observation, teacher-student interviews and text analysis of transcripts of interview protocols to examine the impact on teaching and learning.
A test of mental lexicons had been carried out. Students had to write down their mental lexicons among the areas of school, family and society within the time limi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are positive impacts on the Chinese language development of students. However, students have different performances in the mastery of mental lexicons among the five classes. From the analyses of all the data, it is found that the teaching goals, strategies and the allocation of teaching time are all affected by the different media of instruction. The results reflect that students’ competence of Chinese character and motivation of learning are slightly affected.
In brief,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hat provides information for future studies on the media of instruction of Chinese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Moreove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also serve as a reference to policy makers and teachers in making their decision in selecting the medium of instruction of Chinese language learning.

根據香港現時的教學語言政策,中文科可以自由選用普通話或粵語作為教學語言. 因此本研究通過文獻探討, 採用普通話, 粵語及粵普雙語,設計了五種教學語言形式, 分別於同一所小學的五個小一班別進行, 旨在探討不同的教學語言形式對於學生識字能力發展的影響.
本研究以多個案形式,採用多種渠道搜集資料,以三角論證方式互相引證。質性研究方面,主要是以多個個案的方法,通過分析課堂錄影及師生晤談資料, 以了解教學語言對學與教的影響. 量性研究方面,則進行了一項準實驗研究及兩次問卷調查, 以了解教學語言對學生識字能力發展及學習興趣與動機的影響.
識字能力測試劃分為三個範疇, 分別是學校, 家庭及社會;要求學生在特定的測試時間內寫下認識的心理詞彙. 研究結果顯示, 不同的教學語言形式對學生識字能力的發展整體皆有著正面的影響. 惟採用不同教學語言形式的班別, 其學生在識字能力的發展方面有著不同的表現. 配合訪談調查法所得數據,是次研究反映了教師採用不同的教學語言形式進行識字教學, 會影響到教師教學目標, 教學策略, 教學時間的擬定及分配;而學生的識字能力發展及對語文學習的興趣亦略有不同的表現.
總結而言,是項研究為基礎研究, 除為未來研究提供方向外, 研究成果亦希望能提供給教學語言決策者及教師作參考, 以便在未來決定中文科教學語言前, 能有更全面的考慮.

목차
▮ 국문초록
 Ⅰ. 引言
 Ⅱ. 研究方法
  1. 課堂教學語言設計
  2. 研究樣本
  3. 研究工具
   3.1.心理詞彙測試
   3.2.師生訪談
   3.3.學生問卷
 Ⅲ. 研究結果
  1. 識字能力發展
  2. 教師因應教學語言不同而訂定的教學目標、策略及課時的分配
  3. 學生的學習興趣、動機及學習能力
 Ⅳ. 研究結論及討論
  1. 研究結論
  2. 討論及建議
 ▮ 參考文獻
 ▮中文摘要
 ▮ Abstract
저자
  • 張淑明(香港大學) | Cheung, Suk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