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지하다시피 우리말에서 차용해 활용되고 있는 한자음에는 지금까지도 중국 고대 한어의 특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러한 인과 관계를 밝히기 위해 지난 연구에서 입성운자를 중심으로 양주방언과 우리말 한자어 입성운미의 대응관계를 살펴 본 바 있으나, 중국은 지역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중국 의 특정 지역만을 가지고 한ㆍ중 양국의 入聲韻을 살피기에는 역부족인 측면이 있 다. 이에 본고에서는 광동어에도 고대한어의 입성운과 양성운이 잘 보존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광동어를 중심으로 우리말 한자어의 음운 대응관계를 고찰해 보았 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광동어 일명 粤语와 우리말 한자음의 형성을 조사하 였고, 그 다음으로 중고음과 粤语의 대표 방언인 廣州話와 우리말 한자어 간의 발음 의 대응관계를 정리 및 분석하여 음운학의 연관성을 밝혀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粤 语 중에는 우리말의 한자음과 유사하거나 똑같은 경우가 적지 않은 바 광동지역의 학생들이 우리말을 학습할 때 두 언어 간에 나타나는 음운의 유사성을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그 대응관계를 이해한다면 보다 쉽게 우리말을 배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 라고 기대해본다.
        5,200원
        2.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에서 시행되는 언어교육 정책에 따라 중문과에서는 보통화와 광동어 중 어 떤 언어도 자유롭게 선택하여 교육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문헌 연구 를 통해, 보통화만 사용하는 경우, 광동어만 사용하는 경우와 보통화와 광동어를 혼용하는 경우에 따라 15개의 언어교육형식을 설계하였다. 동일 소학교의 5개 소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언어 학습 교육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 발전에 대한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개의 안과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삼각 논증의 방식으로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질적 연구 방면으로는 교실 수업 분석과 교사와 학생 면담자료 등 다양한 개별 측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영 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업 언어가 학생들의 한자 능력 발전과 학습 흥미와 동기에 미치 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한자능력에 대한 시험은학교와 가정, 사회의 세 개의 범주로 나누어, 학생들이 특정한 시험 시간에 사용하는 심리적 어휘를 측정하였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동일하지 않는 교육 언어 형식은 학생들의 한자습득 능 력의 발전 전체에 모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로지 동일하지 않은 교육 언어를 사용한 반에서도 반별로 학생들의 한자능력의 발전에서도 각기 다른 표현 이 보였다. 방문면담의 결과를 취합하고 새로 적용한 후 시행한 2차 측정에서 이 미 이 결과를 알고 있는 교사는 서로 다른 교육 언어로 한자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사의 교육 목표, 교육 전략, 교육 시간의 설정과 배분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학 생들 또한 한자습득 능력의 발전과 어문 교육의 흥미도에 영향을 받아 이전과는 다른 현상을 보여주었다. 요컨대 본 연구를 기초로 삼아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 뿐 아니라, 본 연구의 성과가 언어 교육의 정책 결정자와 교사들에게 참고가 되어 향후 중문과 교육의 교육 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6,100원
        3.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randing concept has been burgeoning from product branding and extending to service, corporate, and further nation branding (Papadopoulous & Heslop, 2002). The concept found in the tourism literature has been mostly adapted to a tourism destination (e.g., Gartner & Konecnik Ruzzier, 2011; Im, Kim, Elliot & Han, 2012). However, unlike characteristics of a manufactured product, a tourism destination has difficulties in terms of definition,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Murphy, Moscardo & Benckendorff, 2007). As a consequence,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empirical research relat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branding concept to tourism destination management organizations spanning from national to local tourism organizations (Blain, Levy & Ritchie, 2005; Pike, 2010). To understand tourism destination branding, recentl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destination branding as a part of destination marketing strategy (Morgan, Prichard & Pride, 2001), brand identity and personality (Morgan et al., 2001; Murphy, Moscardo & Benckendorff, 2007), and brand logos and slogans (Blain et al., 2005; Hem & Iversen, 2004). The concept of the destination brand equity will be applied to Hong Kong tourists who are traveling to Switzerland. Switzerland is becoming a hot spot for Chinese long-haul trips following European destinations like UK, France, or Italy. Since a decade the core countries of the European Alps Switzerland concentrates more specifically on the Chinese market and with a time lag of a few years the overnight stays have started growing (Schmid, 2012). Since 2008 the overnight stays of Chinese touristsindicated a double- digit jump over the last five years and resulted in an accumulated growth rate of 246.9 percent, that is, the overnight stays per year climbed from 214,000 (2008) to 744,000 (2012) (BFS, 2009 & 2013). The Swiss Tourism Board estimated 2 million overnight stays from China in 2020. In this case China would overturn the neighboring country Italy as one of the key source markets for Switzerland (Schmid, 2012). The high increase in Chinese tourists led to marketing efforts of Switzerland Tourism and the Swiss Hotel Association hotelleriesuisse with their initiative “Hallo China” (Switzerland Tourism, 2004). At firs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destination brand equity. Second, it is to propose a destination brand equity model. Third, it is to test the model using a sample of Hong Kong tourists who travel to Switzerland. Fourth, it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ourism products preferred by Hong Kong tourists. Fifth, it is to explore how their preferences for tourism produ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travel-related or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expects those outcomes and benefits. Frist, components consisting of destination brand equity model and conceptual model will be generated. Second, brand equity of Switzerland as perceived by Hong Kong tourists will be tested. Third, better understanding of Hong Kong tourists regarding their perception of Swiss image, level of awareness, overall quality, loyalty, and overall brand equity will be facilitated. Fourth, most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preference, behavior or attitudes of Hong Kong tourists who travel in a short-haul distance. On the contrary,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Hong Kong tourists to a long-haul tourism destination, here Europe. Fifth, according to specialization theory, more specialized tourists tend to select more far-way and more risky destination because their knowledge is growing and a range of their selection is diverse. In an increasing future trend in demand of overseas Chinese tourist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long-haul Hong Kong tourists’ preference, attitude or behavior in Europe.
        4.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오픈소스 통계프로그램 중 하나인 R 중 “다중분류 변항의 논리 회귀분 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광동어 성조가 어떻게 중고 음을 거치면서 변화하여 왔는가를 살피고자하였다. 우선 열 개항의 중고음 자료 (反切上字, 反切下字, 字母, 清濁, 全次, 攝, 韻, 等, 呼, 洪細, 平水韻目, 四聲, 平仄)와 광동어 성조를 가진 한자 코퍼스 자료를 구축한 후, “다중분류 변항의 논 리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어떤 중고음 자료가 현재의 광동어 성조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중고음에서부터 현재의 광동어까지 이르는 성조의 변화 조건과 규칙을 발견 해 내었다. 분석 결과 1.중고음의 사성은 광동어 성조의 사성의 구별을 결정하였으며, 2.중 고음의 청탁음은 광동어 성조의 음양의 구분을 결정하였고, 3.중고음의 섭(攝)은 광동어의 음입(陰入)과 중입(中入)의 구분을 결정하였고, 4.중고음의 전차(全次)는 광동어 성조의 양상(陽上)과 양거(陽去)의 구분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조건의 예측 능력은 도합 0.86, 곧 이 네 항이 고자료에서 유효한 예측을 가지는 것은 86%였다. 개별 한자의 광동어 성조를 살펴았을 때, 이 네가지 항목이 가지 는 예측능력은 四聲 > 清濁 > 攝 > 全次. 순으로 강하였다. 이 연구의 가치는 다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전통적인 광동어 성조에 대한 견해 곧 1, 2, 4항에 대해 과학적인 실증 자료를 제공하였다. 2.섭(攝)의 광동어의 음입과 중입의 구분의 조건이 됨을 증명하였다. 3.위의 네가지 항목이 각기 다른 조건에서 서로 다른 영향의 깊이 순서를 가짐을 알아내었고, 4.R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학자들이 반복적으로 응용하여 중 고음과 성조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5.통계학연구가 어떻 게 중국어 연구에 응용될 수 있는가를 보임으로써, 현대과학의 의의에 맞는 한자 통계학이라는 분야를 구축하는데 한 걸음을 보탰다.
        10,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