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고지도가 증명하는 독도 영유권 KCI 등재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Approved by Chinese Old Map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049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독도연구 (The Journal of Dokdo)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Dokdo Research Institute)
초록

중국은 전통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동해 해역에 대한 관심이 적은 편이어서 이 지역에 대한 문헌이나 지도상의 기록이 많은 편은 아니다.
현재는 독도를 비롯해 한·중·일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역사문제, 영토문제 등이 동북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력으로 중국은 이 지역에 초연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중국 정부와 언론 매체 등은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독도에 대해 명확한 논평을 내놓지 않고 비교적 중립적인 입장을 지키고 있으면서 공식적인 표기법은 “獨島(竹島)”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학계와 일반의 사용빈도를 조사한 결과 “獨島”를 좀 더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부 『역대지리지장도(Lidaidilizhizhangtu)』의 「당십도도(Tangshidaotu)」, 『대명혼일도(Daminghunyitu)』, 『광여도(Guangyutu)』경우를 빼고 현존하는 송대부터 명대까지 중국의 고지도에서 한반도의 윤곽이 정확하게 표현되었거나 독도가 표기된 지도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20세기 이전 중국의 지도 중 최초로 독도를 표현하고 있는 것은 18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황여전람도(Huangyuquanlantu)』이다. 이 지도 중의 조선부분은 바로 조선이 청측에 제공한 것이다. 중국에서 목판본 지도를 제작하며 울릉도의 “鬱”이 너무 복잡해 뜻과 발음이 같은 “菀”로 바꾸었고 “于山島”의 경우는 전사 과정의 오류로 “千山島”라 표기했다. 울릉도와 독도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있는 것은 조선에서 가져온 지도의 내용 그대로 그렸을 것이다.
이런 『황여전람도』의 울릉도와 독도의 표현 방법과 표기 방법은 이후의 지도에도 그대로 영향을 주었다. 청 후기 독도가 표기된 거의 대부분의 『황여전람도』의 영향을 받은 지도라는 점이다. 이 지도들의 경우 19세기까지는 아직 바다의 국경선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바다에 국경선 등을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독도와 울릉도의 경우 일본과 동해를 사이에 두고 조선의 바로 옆에 섬 두 개와 지명을 표기하고 있어 지도를 보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알 수 있도록 했다.
『황여전람도』는 중국을 대표하는 지도로 조선부분은 조선에서 제공한 지리 정보를 거의 그대로 수용했다. 그 과정에서 울릉도와 독도를 확실히 조선의 영토에 속하도록 표현한 것은 이 지도의 영향이 19세기 중국에서 발간된 다수의 세계지도에도 그대로 이어져 울릉도와 독도가 명확하게 조선의 영토라고 표현될 수 있었던 사실을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ompared to other regions, there are not much literature and maps of Korea in China, since China traditionally had little interest in the sea waters in the East Sea. China has to be concern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Northeast Asia, necessarily because of intertwined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among China, South Korea and Japan, and it’s impact on China. Therefore,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media are going on a relatively neutral stance to Dokdo without a clear commentary on this issue, while keeping formal notation of “獨島(竹島)”. However,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frequency of using the terms in the academic and general field, “獨島” is preferentially a bit more used than “竹島”.

There is little map of Sung and Ming Dynasty on which the accurate outlin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Dokdo were marked except for 「Tangshidaotu」 of of 『Lidaidilizhizhangtu』, 『Daminghunyitu』, 『Guangyutu』.

The first chinese map marking Dokdo before 20th century is 『Huangyuquanlantu』 made in the early 18th century. Chosun’s part of this map was provided by Chosun. In the wooden mapping process in China, the letter, “鬱” of Ulleungdo is replaced by the letter, “菀” in the same pronunciation and meaning, because of its complication. In the transcription process, “于山島” was wrongly changed to “千山島”. The wrong posi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each map was exactly as it was in Korean maps.

The expression and nota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Huangyu- quanlantu』as an effect on subsequent maps. In the late Qing Dynasty, most maps which marked Dokdo were affected by 『Huangyuquanlantu』

In these maps, there were no maritime boundaries, because there was no clear concept of the sea border in 19th century. However, there were written and marked the two islands, Dokdo and Ulleungdo on East Sea closer to Chosun than Japan so that anyone looking at a map knew Ulleungdo and Dokdo were Korean territory.

『Huangyuquanlantu』is a typical chinese old map which accepted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provided by Chosun. In the mapping process, the clear expression and notation of Ulleungdo and Dokdo as a Korean territory in this map has a long-lasting influence on the many maps made in China in the 19th century. In this regard, 『Huangyuquanlantu』is of great value to Korea.

목차
1. 현재 중국이 독도를 바라보는 시선
  1) 중국이 독도 문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
  2) 독도 문제를 바라보는 중국 각계의 반응
 2. 청대 이전 중국고지도에 표현된 독도
  1) 명대 이전의 중국 지도에 표현된 한국
  2) 명대 중국 지도에 표현된 한국
  3) 명대까지 중국 지도에서 찾아 볼 수 있는 한반도 표현의 특징
 3. 청대 중국 지도에 표현된 한국과 독도
  1)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에 표현된 독도
  2) 『황여전람도』이후의 중국 지도에 표현된 독도
 4. 맺음말
저자
  • 이명희(경희대학교 강사) | Myunghee, Le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