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치료와 주요 대체치료법 간의 적용 대상자에 대한 비교 분석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main alternative therapy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ubjects appli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12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원예치료 및 주요 대체 치료법의 논문을 대상으로 치료에 적용된 대상자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성별 비율은 치료법의 종류에 관계없이 여성의 비율이 52.3-55.1%를 차지하였다. 개인을 대상으로 한 치료는 미술치료가 45.2%로 비율이 높은 반면에 나머지 치료법에서는 13.2%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인원수별 비율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10명 이하의 비율이 29.5%(작업치료) 이상을 나타냈으며, 특히 미술치료는 10명 이하가 64.5%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연령은 원예치료의 경우 60대 이상이 32.8%로 많은데 비해 작업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는 20대 이하가 각각 54.6%, 65.7%, 56.6%로 20대 이하의 비율이 높았다.

저자
  • 정호용(원광대학교 원예학과) | Ho-Yong Jung
  • 박정원(원광대학교 원예학과) | Jeong-Won
  • 강성선(부안군 농업기술센터) | Seong-Seon Kang
  • 박연실(부안군 농업기술센터) | Youn-Sil Park
  • 허북구((재)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 Buk Gu Heo
  • 박윤점(원광대학교 원예학과) | Yun- Jum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