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대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서식지 특성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habitat characteristics of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Odae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20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서식지 특성 이해는 종과 서식지를 보전하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멸종위기종인 삵의 서식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GIS 분석을 위하여 삵의 위치자료와 11개의 환경 인자를 이용하였고, GIS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지로 오대산국립공원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삵은 오대산국립공원의 일반적인 숲 구성에 해당하는 활엽수림, 수관밀도 밀밀도, 영급 5영급, 경급 중경목 지역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삵은 오대산국립공원 평균 고도(901.4m)보다 높은 고도(1,045m)와 오대산 평균 경사도(22.1°) 보다 낮은 경사도(15.7°)를 선호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와 선행된 연구결과와 비교를 통해, 삵이 선호하는 서식지 환경에 대한 포괄적으로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삵은 수목연령은 5-6영급, 고도는 800-1100 m 경사도는 15-24°, 사면향은 남서향, 수계로부터의 거리는 200-300 m, 주거지나 농경지로부터는 1400 m 이상 떨어진 지점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Understanding habitat characteristics of endangered wildlife is essential to conserve the species and their habita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abitat characteristics of a Korean endangered species, Prionailurus bengalensis (leopard cat), using GIS analysis. GPS coordinates of the target mammal traces and 11 environmental factors were used for the GIS analysis. The Odaesan National Park (ONP) is selected as a study area for GIS analysis of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leopard cats. According to our results, leopard cats preferred broad-leaf forests with high density crown and middle DBH of the 5th age class as their habitats,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forest composition of ONP. However, leopard cats preferred a little higher area (1,045m) than mean elevation (901.4m) of ONP and a little lower steepness (15.7°) than that (22.1°) of ONP. Through comparison of previous studies with our results, we draw inclusive conclusions on habitats preference of Korean leopard cats. Leopard cats preferred the 5th-6th age classes of tree, elevation of 800-1100 m, steepness of 15-24°, South-west aspect, distance of 200-300 m from stream, and distance more than 1400 m from human residential area or agricultural area.

저자
  • 임상진(강원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Sang-Jin Lim
  • 김지영(강원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Ji-Young Kim
  • 박영철(강원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Yung-Chul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