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바이오가스 정제용 용해성 폴리이미드 공중합체의 합성과 특성분석 KCI 등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oluble Co-polyimides for Biogas Purif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21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분지환족 dianhydride인 5-(2,5-dioxotetrahydrofuryl)-3-methyl-cyclohexene-1,2-dicarboxylic anhydride (DOCDA)와 다섯가지 diamine (2,5-dimethyl-1,4-phenylene diamine (2M), 2,4,6-trimethyl-1,3-phenylene diamine (3M), 1,5-naphthalene diamine (NDA), 4,4-diaminodiphenyl methane (MDA), 4,4’-diaminodiphenyl ether (ODA))을 two-step 이미드화를 통해 공중합하였다. 합성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를 FT-IR, 고유점도, DSC, TGA 그리고 용해도 측정을 통해 구조분석 및 물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6FDA를 dianhydride로 한 공중합체를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여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공중합체는 0.32~0.58의 고유점도를 가졌으며, DOCDA계 공중합체는 6FDA를 포함한 공중합체보다 약간 낮은 값을 보이나 약 400°C까지 견딜 수 있는 열적 안정성과 여러 가지 용매에 대한 우수한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폴리이미드를 이용해 평막을 제조하여 CO2 및 CH4에 대한 기체투과도를 평가하였고 공중합체는 구조변화에 따른 투과-선택도의 상충관계를 보여주었다.

Co-polyimide membranes were prepared by two-step polymerization using semi-alicyclic 5-(2,5-dioxotetrahydrofuryl)-3-methyl-cyclohexene-1,2-dicarboxylic anhydride (DOCDA) with five diamines such as 2,5-dimethyl-1,4-phenylene diamine (2M), 2,4,6-trimethyl-1,3-phenylene diamine (3M), 1,5-naphthalene diamine (NDA), 4,4-diaminodiphenyl methane (MDA), 4,4’-diaminodiphenyl ether (ODA). Synthesized co-polyimides were characterized by FT-IR, viscosity, solubility, DSC, TGA and gas permeation properties, compared with 6FDA-based co-polyimides. All co-polyimides had the intrinsic viscosity of 0.32~0.58 and excellent solubility in various solvents. DOCDA-based co-polyimides had thermal stability over 400°C although those were lower than 6FDA-based co-polyimides. Gas permeabilities of the copolyimide membranes were measured for CO2 and CH4 at room temperature and presented the trade-off relationship.

저자
  • 신소라(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소재연구본부 분리막연구센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청정화학 및 생물학) | So Ra Shin
  • 한상훈(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소재연구본부 분리막연구센터) | Sang Hoon Han
  • 김정훈(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소재연구본부 분리막연구센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청정화학 및 생물학) | Jeong-Hoo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