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펠렛 재료가 카멜리나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28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캐나다산 봄 재배용 카멜리나 종자에 적합한 펠렛 물질의 탐색과 이들 피복 물질들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십자화과에 속하는 카멜리나 종자는 오메가3와 같은 지방산이 풍부하여 대체 의료 작물뿐만 아니라 바이오 디젤용 작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있으나 유럽과 캐나다 등지에서는 오일을 추출하여 의료용, 화장품 그리고 대체 연료를 이용할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카멜리나는 파종 기계를 이용하여 포장에 직파를 하는데 종자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파종시 종자 소요량이 많고 파종밀도가 불균일하여 발아 후 묘소질도 떨어지는 데다 새나 쥐와 같은 동물들이 가해하여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소립종 종자들에 펠렛 코팅을 하는 주요한 목적은 파종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입모주수의 확보 그로인한 입모 주수의 확보와 수량 증대에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겨하기 위하여 소립종 종자들의 종자표면에 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불활성화 물질을 코팅하여 그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여 파종하고 있다. LD, MD 그리고 HD의 세 가지 형태별 카멜리나 펠렛종자의 형태적 특성은 MD와 HD 형태의 펠렛 가공종자가 LD형태에 비하여 표면이 더 매끄러우며 펠렛 종자의 경도는 HD 형태의 것이 0.54㎏으로 가장 단단하였으며 수분흡수 후 열 개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내 표준발아 시험에서 세 가지 형태의 카멜리나 펠렛종자는 카멜리나 종자들에 비하여 발아율, 발아속도(GR), 발아속도지수(PI)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나 하우스에서 실시한 토양 출현력 검정시험에서는 카멜리나 종자를 포함한 세가지 형태의 펠렛종자들의 발아율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발아속도(GR)와 발아속도지수(PI)의 값에서는 HD형태의 펠렛종자가 낮은 결과 값을 보였다.

저자
  • 박민우(현대종묘(주))
  • 최충원(세종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공학전공)
  • 이상협(세종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공학전공, 세종대학교 식물생명공학연구소)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