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관측홍수량 자료의 불확실성이 홍수빈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강유역 내의 17개 수위관측지점의 홍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수행한 결과인 지수홍수와 분위수를 중심으로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관측자료의 특성에 따라 3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수위자료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평창강 유역의 수위관측지점을 대상으로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를 분석하면, 평균홍수량에 대한 오차는 0.240으로 평가되었다. 두 번째로 레이팅 적용에 따른 관측자료의 불확실성이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당연도에 개발된 레이팅을 각각 적용한 결과와 가장 최근 개발된 레이팅을 적용한 결과를 분석해보면, 평균홍수량에 대한 오차는 평균 0.246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위적으로 유량이 조절된 댐하류의 통제된 흐름영역에서의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를 유추하였다. 댐하류에서의 홍수량 거동은 댐운영에 의해 조절된 것으로 댐상류의 자연유역에서의 비유량 지역화 결과를 연장할 경우, 댐하류의 조절유역에서의 비유량 거동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 of uncertainties in flood data on the results of flood frequency analysis for Han river basin. To meet this aim, this study quantified assessment focused on the index flood and quantile by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flood data from 17 water level gauges in Han river basin. We analysed the results categorized by three ca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d data. Firstly, we analyzed the regional flood frequency for the water level gauge in the Pyungchang river basin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ater level data. The results has the error of 0.240 with respect to the mean flood. Secondly, we examined the impact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data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of rating on the results of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We have compared the results by applying the rating estimated for each year to the one by the recently estimated ra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error has 0.246 in terms of the mean flood. Finally, we have inferred the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results with the regulated flow in the downstream area of dams. The regulated specific discharge in the downstream area of dams controlled by dam operation showed a large difference to the estimated specific discharge in the downstream area of dams by extension of the natural specific discharge in the upstream area using the regionaliz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