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침향 추출물의 라디칼 및 췌장 지방분해 효소저해 활성 평가 KCI 등재 SCOPUS

Evalua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effects of Aquilaria agallocha extra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06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팥꽃나무과 방향성 수지질의 상록성 교목인 침향을 80%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CH2Cl2, EtOAc 및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녹차의 항산화 성분으로서도 잘 알려져 있는 천연 항산화제인 (+)-catechin을 대조군으로 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활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처리농도에 비례하게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도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CH2Cl2 가용부에서 26.1±4.4 μg/mL, EtOAc 가용부에서 24.8±3.9 μg/mL의 우수한 IC50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CH2Cl2, EtOAc 및n-BuOH 가용부에서 각각 5.3±0.4 μg/mL, 5.5±0.4 μg/mL 활성이 확인 되었으며, 총 페놀함량과의 강한 상관관계가 시사되었고 페놀성의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항비만 활성과 관련된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오일의 형태로 얻어진 CH2Cl2 가용부의 IC50값은 1.1±0.3 μg/mL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orlistat에 비해 약하나 추출물 상태임을 고려할 때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우수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식의약품 소재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 수립을 위하여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에 대해 활성추적탐색법(activity-guided isolation)에 따라 활성물질을 추적, 분리하는 연구를 통한 효능물질의 동정 및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침향의 식물 화학적 성분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In a continuing screening of selected medicinal plants native to South Korea, the antioxidant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an aqueous methanolic extract from the heartwood of Aquilaria agallocha were investigated. Eighty percent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A. agallocha was further divided into CH2Cl2, EtOAc and n-BuOH in order to yield four solvent-soluble portions, namely CH2Cl2-soluble, EtOAc-soluble, n-BuOH-soluble and H2O residue. The antioxidant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employing radical scavenging assay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s, while the anti-obesity efficacy of A. agallocha extracts and solvent-soluble portions were tested by porcine pancreatic lipase assay. All tested samples showed dose-dependent radical scavenging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Among the tested extracts and solvent-soluble portions, the CH2Cl2-soluble portion showed much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properties when compared with other solvent-soluble portion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biological efficacies, and A. agallocha extract might be considered as a new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and as a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source. A more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is biomass will be perform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activity against antioxidative and anti-obesity effects.

저자
  • 이하영(한국한방산업진흥원) | Ha Yeong Lee
  • 이인철(서원대학교 화장품과학과) | In-Chul Lee
  • 곽재훈(대구한의대학교 바이오산업융합학부) | 서원대학교 화장품과학과
  • 김태훈(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Tae Hoo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