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태풍 나크리에 대한 한라산의 산지효과 분석

Analysis of Orographic Effect in Hallasan Mountain during the Typhoon Nakri 2014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2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2014년 8월 2일에 발생된 태풍 나크리의 영향으로 한라산의 윗세오름 강우관측소에는 우리나라의 1일 최대 강우량이 기록되었다. 윗세오름은 한라산의 정상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라산의 다른 지역보다 강우량이 많이 관측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그 원인으로는 산지효과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에는 23개의 지상강우관측소만이 설치되어 있어 산지효과로 인한 강우량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한라산을 대상으로 성산기상레이더와 고산기상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이용하여 호우의 산지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레이더 반사도의 고도를 250 m 간격으로 구분하고 지상에서 2,000 m 까지 반사도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 구간별로 레이더 자료와 가용한 AWS 자료를 이용하여 Z-R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도된 Z-R 관계식을 제주도 전역에 적용하여 최대 강수가 발생한 지점 및 그 크기, 아울러 제주도 전역에 내린 총 강수량의 분포를 추정하였다.

저자
  • 구정모(정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Ku, Jung Mo
  • 유철상(정회원,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교수) | Yoo, Chuls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