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대교회의 여성성직제도 ‘과부’의 역할과 지위 KCI 등재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Order of “Widow” in the Early Chur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4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본 소고는 초대교회의 성직제, 과부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본고는 여성성직제, 과부에 대한 초대교회의 자료들을 많이 소개하고 과부였던 여성들의 활동과 당시 교회에 미쳤던 의미들을 살펴보았다. ‘과부’는 단순히 남편을 잃은 여성을 지칭하는 단어로서가 아니라 교회여성들이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과 열정으로 교회사역에 참여하고 헌신할 수 있었던 통로가 된 직제이었다. 이는 제도적 교회가 인정한 성직이었으며 여성들은 공동체를 위해 기도했고 환자나 가난한 자들을 심방하고 구제했으며 교회의 형편에 따라 예전에 참여하여 사제처럼 감독을 돕기도 했다. 그들은 그 인품과 영성, 그리고 섬김의 모델로 존경받았다. 성경과 (특히 목회서신), 속사도시대 문서들과 초대교회 교부들의 글, 그리고 여러 교회규정집들에서 과부직제에 대한 기록들이 발견된다.
초창기 초대교회 공동체에서 과부들의 위상과 사역은 나름대로 존중되었고 공동체 회원들의 역할 모델이 되었다. 그러나 차츰 교회가 제도적으로 모양을 갖추면서 과부들의 사역이 축소되었고 그 의미도 희미해졌다. 제도적 교회는 의도적으로 여성들을 리더십에서 소외시키고 그들의 사역을 축소시켰다. 교회규정집들이 제시하는 과부 직제의 의미와 사역의 범위가 이를 잘 말해준다. 더욱이 과부를 비유하는 ‘하나님의 제단’의 의미도 후대에 갈수록 그 뜻과 상징이 왜곡 되게 나타난다. 처음 기도로 공동체를 중보하는 의미로 헌신과 희생, 성결로 공동체의 모델이 되었지만 여성을 가사울타리 안에 가두는 도구로 제단의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사역을 공공연히 폄하시키는 것이 눈에 띄게 나타난다. 제단은 움직이지 않고 한자리에 있는 것이므로 여성들은 집안에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하며 과부직제의 무게를 격하시켰다. 그러나 교회 규정집에 끝이지 않고 여성의 활동을 제한해야 한다는 항목이 나타나는 것은 역으로 그만큼 여성들의 활동이 활발했으며 이에 대한 요구가 계속 있었었음을 암묵적으로 말해준다고 봐야 한다.
본 소고는 제도적 교회에서 성직을 맡아 봉사하고 현신했던 여성들의 역할과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여 기독교 역사를 균형 있게 펼쳐가는 데 기여하리라 믿는다.

It is grateful for recent interest in the role and position of women in the early church has increased. Thanks to this scholarly work, I have focused on “widow” as an order of early church regarding its roles and meaning. The term ‘widow’ in the early church was not simply a woman who had lost her husband by death, not remarried, but an order of church installed for women. Religious women devoted their life to Christ through the order in the organized church.
In order to provide the evidence for the ‘widow’ as church order, I examined the primary New Testament text. Next I discussed the references to the widow’s order in the writings of church Fathers, and several books of church orders. By examining these literary documents, I have seen the rise and fall of a role and position of widow. Widows filled an important and recognized place in the life of christian communities at least until the beginning of the third century. However, as church developed from primitive community to institutional system, a gradual process of transformation began i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model of church.
The attempt to restrict widows’ active involvement in ministry of church are evidently presented in using metaphor of widow: the widow as the altar of God. Until about the third century, that symbol honorably referred to widows’ dedication and holiness and purity in their life. A generation later, the image was interpreted to instruct that women should stay at home because te altar of God does so. The metaphor that compared to the widow to the altar of God was once a powerful symbol expressing a spiritual and social relationship of widows and other members of Christian community.
Nevertheless, we could draw from hierachical church’s attempt to restrict widows’ position and activities an implicit conclusion regarding the widows’ real field of activity. They baptized, taught, provided counseling, cared for the sick, forgave sins after sinners’ penance, etc. With one later document, TD, the figure of the widow as an honored and responsible person in the Christian community beyond the point of declines rapidly.

저자
  • 채승희(영남신학대학 역사신학 조교수) | Chae, Seong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