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석류 해석을 위한 주요입력변수 추정방법

A Method to Estimate Major Input Parameters for Debris-flow Modell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0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극한강우를 고려한 산사태 및 토석류 재해 실시간 예측 및 대응을 위하여 필요한 원천기술들 중, 토석류 전이규준 개발 및 이를 통한 발생부 토사량 추정 기법, 그리고 전이 이후 토석류 확산의 정량적 예측 분석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인자들인 연행 증가율 및 유변학적 인자들에 대한 입력값을 결정하는 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본 원천기술들을 실시간으로 연계 및 적용 가능하도록,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및 Web 기반의 산사태 및 토석류 관련 D/B 시스템을 경기도 용인지역에 시범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산사태 및 토석류 유발인자 관련 지리 공간적 컨텐츠를 저장하고 게시하여 Web 상에서 D/B를 공동으로 활용하고 분석할 수 있다. 토석류 전이규준에서 발생부 토사량 추정으로 이어지는 연구는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는 지형학적 인자들을 바탕으로 통계학적인 규준값을 설정하는 접근법, 그리고 국내의 전형적인 사면파괴 형태인 강우침투로 인한 침윤전선(wetting depth)의 하강과 같은 실제 메커니즘을 고려하는 물리적 기반의 접근법 등이다. 한 편, 국내 과거 토석류 발생 지역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DAN3D 모델을 통한 토석류 확산 예측 분석에서의 연행 증가율에 대한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들은 궁극적으로 국내의 실시간 산사태 재해 예·경보 및 종합적 리스크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구성 원천기술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 이승래(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 | Lee, Seung-Rae 교신저자
  • 박준영(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석사과정) | Park, Joon-Young
  • 강신항(정회원,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박사과정) | Kang, Sinhang
  • N.V. Nikhil(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박사과정)
  • 윤석(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박사과정) | Yoon, Seok
  • 이득환(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석사과정) | Lee, Deuk-H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