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북 청송군 주왕산지역의 대전사 현무암의 암석학적 특성 KCI 등재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ejeonsa Basalt in the Mt. Juwang area, Cheongsong-gun, Gyeongsang but-do,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1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청송 주왕산지역 대전사 현무암의 산출 상태 및 분포 양상을 검토하고, 암석기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야외 조사 결과, 주왕산 화산암체의 최하부층에 해당하는 대전사 현무암층은 전체적으로 12매의 용암과 9매의 페페라이트가 교호하며, 각 용암과 페페라이트의 암층의 두께는 다양하다. 본 층에서 나타나는 페페라이트는 현무암과 세일이 혼합되어 있으며, 현무암은 쇄설의 형태로 나타나고 세일은 현무암의 기질을 메우는 간극상을 이룬다. 이는 용암이 분출하여 고화되지 않은 젖은 세일층 위를 흐르거나, 관입으로 인해서 용암과 퇴적물 사이의 접촉부에서 생성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페페라이트는 조직상으로 구상 페페라이트로 분류할 수 있다. 현무암류는 육안으로 반정이 관찰되지 않으며 기공이 없는 치밀한 현무암이지만, 한 단위의 용암층 내에서 상부에는 다공질의 현무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경하에서의 현무암류는 주된 반정 광물로 가상의 감람석을 가지며, Mg#이 높은 암석에서는 사장석과 단사휘석의 반정도 보인다. 석기는 주로 서브오피틱 조직을 보이지만, 국지적인 냉각률의 차이로 인한 오피틱 조직과 인터그래뉼라 조직도 관찰된다. 사장석은 대부분 라브라도라이트(An55.0∼67.7)이며, 일부 안데신(An44.3)과 바이토우나이트(An74.5)로 분류된다. 단사휘석의 평균 조성은 Wo41.6En45.1Fs13.3으로써 보통휘석에 해당한다. 불투명 광물은 티탄자철석과 티탄철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Daejeonsa basalt in the Mt. Juwang area is composed of 12 lava flows alternate with 9 peperites, and each lava and peperite has variable thickness. Globular peperites yielded in Daejeonsa basalt are mixed basalt clasts with reddish shale. Based on field description, when lava flows over unconsolidated wet shale or injectes into unconsolidated wet shale, peperites were formed at the contacts between lava and shale. Daejeonsa basalt are massive lava flows with rare vesicules: some vesicules are found in upper part of a flow unit. The basalt has mainly pseudomorphs of olivine as phenocryst, and also plagioclase and clinopyroxene phenocrysts in rocks with higher Mg-number. Matrix is mainly subophitic texture, sometimes showing ophitic and intergranular textures due to different cooling rate. Clinopyroxene is augite(Wo41.6En45.1Fs13.3), and plagioclase is mostly labradorite(An55.0∼67.7), but some is andesine(An44.3) and bytownite(An74.5). Oxide minerals are composed of titanomagnetite and ilmenite.

저자
  • 고정선 | Koh, Jeong-Seon
  • 안지영 | 안지영
  • 윤성효 | 윤성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