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이 관측자료를 이용한 서해 해역의 해양-대기 열교환량 산출 KCI 등재

Estimation of Air-Sea Heat Exchange Using BUOY Data at the Yellow Sea,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1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기상청에서 덕적도와 칠발도에 설치한 해양기상 관측부이 자료를 이용하여 해양 및 대기 특성과 해양-대기간의 열교환을 살펴보았다. 각 관측지점에서의 일평균 현열속 및 잠열속은 벌크공기역학법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표층수온은 기온과 같이 뚜렷한 연주기를 보이지만, 1달 정도 시간지연을 가진다. 해면기압은 7월에 가장 낮았고 겨울에 가장 높았으며, 습도는 5-8월 사이 비교적 높았다. 풍속은 가을과 겨울에 평균 5m/s 이상으로 강한 편이었다. 현열속 분석결과 가을부터 겨울에 걸처 해양의 열손실이 두드러졌으며, 봄과 여름에는 반대로 대기에서 해양으로의 약한 열전달이 이루어져 연중 순현열속은 해양에서 대기로의 열전달을 보여주었다. 잠열속 분석결과 봄에서 여름까지 대기의 열손실이 나타나지만, 그 외 기간에는 해양의 열손실이 월등히 크게 나타났다. 현열속과 잠열속의 크기를 비교해 볼 때,1-2월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현열속보다 잠열속에 의한 해양의 열손실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관측지점별로 분석한 열속의 크기와 변동폭은 대체적으로 덕적도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일정 기간을 선정한 사례연구에서, 1998년 5월사례의 경우 현열속과 잠열속 모두 칠발도에서 더 크고, 1996년 11월 사례의 경우에는 덕적도에서 훨씬 크게 나타났다.

Heat exchange between the atmosphere and sea is produced using the data from two 3m discus buoy installed by KMA in 1996. The meteorological and oceanic characteristics at the Dukjukdo and Chilbaldo buoy for the period 1996 ∼ 2000 are discussed. Daily averaged sensible heat and latent heat flux at each site are estimated from bulk aerodynamic method using given data and analyzed. Quantitative analyses show SST indicates 1-year cycle like air temperature but has 1 month lag. Sea level pressure is lowest in July, humidity is higher from May to August, and wind speed has averaged value of 5 m/s and higher in autumn and winter. Sensible heat flux analyses present that strong heat loss from the sea occurs in autumn and winter and weak heat loss from atmosphere appears in spring and summer, and net sensible heat loss from the sea is found throughout the year. The ocean significantly releases latent heat into atmosphere from August to May but get a little latent heat from atmosphere in other months. Net latent heat loss from the sea is larger than net sensible heat loss except in January and February. Comparison with two sites suggests that the magnitude of heat flux and their fluctuation are generally stronger at Dukjukdo than at Chilbaldo. In case study, both sensible and latent heat flux is a little more at Chilbaldo in March 1998, but substantially stronger at Dukjukdo in November 1996.

저자
  • 강윤정 | kang, Yune-Jeung
  • 황승언 | 황승언
  • 김태희 | 김태희
  • 남재철 | 남재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