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 KCI 등재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2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은 인간중심 교육철학이 도입되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인간중심 교육과정은 학문중심교육과정보다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표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편 과정에 표출된 배경, 성격 그리고 목표에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의의를 찾고 그 과제와 전망을 논의하였다. 7차 과학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인간중심 교육과정으로서 구체적인 교육활동이 실생활 소재로 이루어져서 적용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성과를 위해서는 현대과학이 가지는 사회적인 요소를 고려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실생활 맥락을 교육적이고 인식론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 과학과 일상생활 맥락의 차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적 구명이 요청된다.

The 7th science curriculum ha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stic philosophy of education. The humanistic curriculum emphasized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claims to stand for learners' experiences. This study searched for the significance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discussed its tasks and perspectives based on the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mentioned in the history of reforming science curriculum. The 7th science curriculum emphasizes learners' experiences and everyday life materials are favored i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the desirable effects related to this commitment,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about the social element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everyday life contexts should be examined in views of educational and cognitive perspectives, so the contextual differences between science and everyday life should be clarified.

저자
  • 이명제(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Lee, Myeong-J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