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plored factors affecting variability in second language (L2) learning motiva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how they appraised their L2 learning experience. In this study, 85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or English education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South Korea, reflected on their past English learning experience. They drew a motigraph and wrote a retrospective reflection essay covering their English learning that spanned over ten years. Researchers divided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a high variability (HV) group and a low variability (LV)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Findings suggest thncontextual factors such as the learning method, atmosphere, and situation were main (de)motivational factors for the HV group. In contrast, the LV group was (de)motivated by intrapersonal factors, including the learning context appraisal. These results imply that visualizing long and short-term goals and positive appraisal of the L2 learning experience can help L2 learners maintain a stable pattern in L2 learning motivation.
본 연구는 갤러리카페의 체험 요소가 재방문의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SPSS 25.0을 활용한 독립 표본 t -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갤러리카페의 재방문의도에는 미적, 엔터 테인먼트, 현실도피, 교육 체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구매의도에는 미적, 현실도피, 교육, 엔터테인먼트 체험 순 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재방문의도는 체험 요소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 를 부분 매개하며, 이는 긍정적인 체험을 지속할수록 구매 행동으로 이어 질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넷째, 중소 도시에서 수도권보다 교육 체험 과 현실도피 체험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점은 문화·예술 공간이 부족 한 지역일수록 갤러리카페가 대체 공간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준다. 다섯째, 중소 도시 방문자의 재방문의도가 수도권보다 높게 나타난 점은 갤러리카페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교육적·몰입형 체험을 제공하 는 공간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갤러리카페는 미적 체험을 중심으로 감각적 즐거움을 극대화하고, 교육적 가치와 몰입형 체험을 강화 하는 전략을 통해 방문자의 재방문과 구매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 개발과 소비자와의 정서적 연결을 강화하는 마케팅 전략을 도입함으로써 예술 매개 플랫폼으로서의 지속 가능한 경쟁 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해외 단기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연수 경 험과 그들이 인식하는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 단 기 연수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외 단기 연수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 터뷰와 개별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4명의 학생으 로 구성된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질 문을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발화를 유도하여 그 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총 6개의 주제와 17개 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학생들은 해외에서의 전공 연수에 대한 기대감과 계획적인 준비 과정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게 되었으나, 영어 실 력 부족으로 인해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으며 아쉬움을 느꼈다. 또한, 한국에서의 바쁜 학업과 비교하여 자유롭고 여유로운 현지 학생들 의 생활 방식에 부러움을 느끼고, 다양한 문화 체험을 통해 오랜만에 여 유를 즐길 수 있었다. 이번 연수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새로운 가능성 을 발견하고, 더 나은 세상을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게 형성 되었으며, 이는 삶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유발하고 새로운 목표 설정으 로 이어졌다. 또한, 현지인들의 친절함과 순수함을 경험하면서 문화적 차 이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함양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 결과 를 종합해 볼 때, 해외 단기 연수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변화 를 유도하는 중요한 경험으로 작용하며, 열망, 동기부여, 자신감 향상 등 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qualitative effectiveness of group logotherapy, a nursing intervention applied to homeless people, and to provide an empirical basis for its use in promoting mental health and rehabilitation of homeless people, a vulnerable populat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meless people's experiences of group logotherapy. Methods: Eight individuals residing in a homeless center in Suwo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a group logotherapy program for at least five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December 2021 and March 2022. Purposive sampling was employed is performed until at theoretical saturation was reached point.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homeless people's experiences of group logotherapy?” The recorded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The analysis identified 187 meaningful statements related to the research phenomenon, from which 34 concepts and 16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open coding. Based on axial coding and paradigm modeling,-the central phenomenon identified in homeless people's experience of group logotherapy was “loss of meaning and purpose in life.” The core category was extracted as “acceptance of who I am and finding happiness in my given circumstances.” Participants reported experiencing an economic crisis, social maladjustment, and a breakdown in their attachment to life, leading to a “loss of meaning and purpose.” Through group logotherapy, they reflected their past and present selves, breaking down barriers,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the group. They were experiencing peer support, self-disclosure, empathy, and communication, leading to their personal transformation. They adopted various 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objectivel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mselves, striving to become better individuals, and realizing the meaning of happiness. As a result participants reported a greater sense of presence in the moment, a renewed sense of purpose, and increased motivation to find meaning in life. Additionally, interactions with peers played were an important factor in their change. Conclusion: Through group logotherapy, homeless people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ir lives through interactions with peers and efforts to find mean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grams that mental health nurses can provide in communities to help homeless people change and grow in meaning. Additionally, to develop a systematic process to help homeless people reintegrate into society, it is necessary to find the best way to support their various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implement social policies for them, and support their health and economic rehabilitation. This study focused on promoting the well-being health of homeless people, a highly vulnerable adequately and underserved group in nursing practi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tribute developing nursing practices by providing evidence-based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homeless population.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and analyze the experiences of nurses regarding department transfers following the sudden closure of a ward due to the collective resignation of res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to 29, 2024, a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The participants were 11 nurses who were transferred to different departments following a ward’s sudden closure owing to the residents’ collective resignation. Results: A total of six themes and 24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first theme is ‘After the resident left, the ward was closed’. The second theme is ‘Various job placements were assigned after the ward’s unfortunate closure’. The third theme is ‘Difficulty adjusting to the new environment and leaning to adapt’. The fourth theme is ‘Changes in the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and the subtheme is ‘Surprised by doctors seeking nurses' opinions due to the absence of residents. The fifth theme is ‘Become an expert at adapting’. The sixth theme is ‘Worries about the future and a faint glimmer of hope’.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challenges nurses encountered in adjusting to new departments following the unprecedented mass resignation of residents and the ensuing ward closure. Nurses initially faced difficulties, feeling expendable in the new environment. However, through the support and collaboration of their colleagues, they demonstrated resilience and adapted effectively. The study also noted that, despite the absence of resident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patients continued to function smoothly, facilitating their involvement in treatment planning alongside specialists and professors. Although departmental transfers can lead to increased job stress for nurses, successful adaptation during these transitions fosters professional growth by enhancing their knowledge, skills, and influence. Furthermore, knowledge sharing among nursing staff contributes to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To promote both personal growth and organizational advancement, nursing managers must actively listen to nurses’ perspectives about departmental transfers and provide compassionate support to assist in their adaptation.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recognizes and values the contributions of colleagues who have undergone transfers is essential. By establishing a systematic approach that facilitates successful adaptation and fostering a positive, accepting nursing culture, departmental transfers can be transformed into an effective strategy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and capabilities of nursing staff.
이 연구는 탈북민들이 한국 사회에서 창업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한 사례를 분석하여 그들이 직면했던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조사하여 탈북민들의 창업을 돕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핵심은 탈북민들이 한국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조건과 그들이 사용한 창업 전략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는 Yin(2009)의 사례연 구 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자는 최근 동향을 알기 위해 탈북민 중, 눈덩이 표집과 세평적 사례선택 방법으로 5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 였다. 자료는 연구대상자들과 일대일 심층 면접을 하여 구성했다. 연구대상자의 구술자료를 분석한 결과 97개의 개별 주제가 도출되었 다. 유사성 차원에서 구성한 결과 2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들을 다시 분석단위인 「창업의 동기」, 「창업자금 마련」, 「창업의 어려움 극복」, 「창업의 성공 요소」, 「창업의 결과」, 「나를 세운 인생관」, 「창업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조언」으로 재배열하였다. 이를 통해 탈북민들의 성공적인 창업 방안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국제경영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가 널리 수용됨에 따라, 기업의 ESG(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거버넌스/Governance) 성과는 글로벌 시장에서 다국적기업의 성공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제도이론에 근거하여 신흥시장 다국적기업의 ESG 성과가 국제화 속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를 탐구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ESG 성과와 국제화 속도 간 관계에 대해 최고경영자의 해외 경험과 기업 의 소유구조, 즉 국유기업 여부가 어떠한 조절 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 A주 시장에 상장된 1,648개 기업의 8,329개 표본을 분석한 결과, 신흥시장 다국적기업의 ESG 성과는 국 제화 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 효과의 분석 결과, 다국적기업 최고경영자의 해외 경 험은 이러한 관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높은 해외 경험을 가진 최고경영자의 경우, 국제화 속도 를 결정하는 데 있어 ESG 성과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한편, 보다 신중한 국제화 전략을 취하기 때문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신흥시장 다국적기업이 국유기업일 경우에, 민간기업에 비해 ESG 성과와 국제화 속도 간의 긍정 적인 관계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국유기업이 ESG 성과를 통해 빠른 국제화 속도를 추진할 때 정당 성 확보의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국적기업의 ESG 전략 및 성과가 글로벌 시장 에서 정당성을 강화하고 국제화 전략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는 동시에, 그 효과가 최고경영자의 특 성과 기업의 소유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신흥시장 다국적기업이 ESG 전략을 효 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경영진의 리더십과 소유구조를 함께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근대사법의 응보적 성격이 갖는 한계를 미국의 여성철학자 수잔 브라이슨의 성폭력 경험사례를 중심으로 다룬다. 브라이슨은 자신 의 수기에서 프랑스에서 경험한 성폭력과 그 재판과정을 섬세하게 묘사 하며 오늘날 사법제도가 피해자에게 얼마나 무관심하고 가혹한지를 드러 낸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원인이 근대사법의 응보적 성격에 있다고 진단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한다. 근대사법에서 범죄 개념은 피해자에게 고통을 준 ‘잘못된 행위’라기보다 국가의 ‘법을 위반한 행위’로 규정된다. 따라서 국가는 피해자의 위치를 대신하고자 하며, 범죄자의 행위가 법을 위반한 것인지를 따지는 일에 중점을 두어 유죄일 경우 그에 맞는 형벌 을 가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피해자는 소외되며, 누구도 만족 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낳는다. 가해자 처벌 중심의 응보적 사법은 무엇 보다 당사자들의 필요가 무시되는 문제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응보적 사법의 문제가 국가 중심적 특성에서 기인함을 밝히고 이를 비판 한다.
본 연구 목적은 축제 체험 요소, 도시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도의 영 향 관계를 분석하고, 칭다오 맥주 브랜드 지식이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 도 간의 영향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구하며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중국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체험 요소 중 인지, 감성, 행동, 감각, 관 계 등 5가지 요인이 모두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는 도시를 타 도시와 차별화하며 방문객 들에게 강력한 인지적 효과를 제공하였다. 둘째, 인지, 감성, 행동, 감각 이 4가지 요인은 도시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칭다오 도시 브랜드 자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독창적 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방문객의 오감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해야 한다. 셋째, 도시 브랜드 자산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성 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브 랜드 자산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칭다오 맥 주 브랜드 사전 지식이 도시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 많은 충성 관광객을 유치하 기 위해 칭다오 맥주의 IP를 강화하고 브랜드 지식의 확산에 집중해야 한다.
본 연구는 체험형 화장품 매장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한 체험형 화장품 브랜드 소비자의 애착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 234부를 수집하여 SPSS 27.0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교육적, 일탈적 체험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적 체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락적, 교육적, 심미적 체험이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심미적 체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애착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므로 브랜드 애착과 구전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재미 요소와 다양한 미용 정보나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매력적인 분위기의 공간으로 가꾸고 신선하고 새로운 경험을 선 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축제에 참여한 관람객이 원하는 다양한 체험과 주 관적인 견해인 지각된 가치가 관람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하고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 째, 체험요소는 지각된 가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지각된 가치는 관람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체험요소와 관람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험요소가 지각된 가치를 증가시켜 관람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 라서 다채로운 체험을 통해 받게 되는 자극이 관람객에게 강한 영향을 주고 매력적으로 판단하여 공연 관람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이를 통해 축제 운영자들에게 관람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축제의 효과적인 운영과 성장을 위한 전략을 제안하 였다.
국경 간 인수합병(Cross-border M&A)은 이중 조직 정체성과 다양한 제도적 환경을 관리하는 복잡한 통합 과제를 포함한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국가 수준의 요인에 초점을 맞췄지만, 특히 자 회사의 경험과 같은 목표 기업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본 연구는 자회사 대 독립 기업, 국내 자회사 대 해외 자회사와 같은 다양한 목표 기업의 특성이 국경을 넘는 M&A에서 인수 기업의 주주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1994년부터 2012년까지의 국경을 넘 는 M&A 거래에 대한 이벤트 연구를 통해, 자회사의 경험이 인수 기업의 주주 가치를 증가시킨다 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제도적 거리가 증가할수록 국내 자회사의 경험 가치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경을 넘는 M&A에서 자회사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제도적 거 리가 그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 This mixed method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levels and experiences among users of a general health checkup center. Methods: A total of 152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pre-checkup anxiety and post-checkup nursing satisfaction levels. Additionally, 11 participan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o determine their pre-checkup anxiety and post-checkup nursing satisfaction experiences.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oftware, whil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mean anxiety scores were 2.80±2.24 on the Visual Analog Scale for Anxiety and 44.06±9.55 on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cale. Education level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TAI scores. Participants with a college education or higher had significantly lower STAI scores(p<.005), indic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higher education levels and lower STAI scores. The mean nursing satisfaction score was 36.49±8.84, with male participants reporting higher nursing satisfaction levels. The pre-health checkup anxiety experience included three themes: “contrasting expectations about checkup results,” “various emotions felt during the checkup process,” and “physical and mental reactions.” The health checkup nursing satisfaction experience included four themes: “satisfaction with nurses’ support and care,” “comfort during the checkup process,” “dissatisfaction due to nurses’ habitual responses,” and “expectations for nurses’ emotional support and communication.” Conclusion: Providing comprehensive nursing information is essential to reduce user anxiety and improve nursing satisfaction. Moreover, integrating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etaversing, into information delivery can enhanc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better address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checkup users.
Purpose: To highlight the experiences of nurses who are promoted through a career development system that recognizes and rewards their expertise based on their clinical 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1 nurse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t Clinical Nurse III level or above from a tertiar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4 to 28, 2024, using semi-structured and open-ended question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laizzi'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into 32 themes, 13 theme clusters, and 5 categories: ‘The promotion process you chose to grow as a leader’, ‘A rugged climb to professional recognition’, ‘Glorious CN III title’, ‘Reborn as a professional nurse’, and ‘The career ladder system needs improvement but it is essential’.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e experiences of CN III nurses who were promoted through the career development system. Nurses hope that this system will allow them to articulate their expertise more clearly and be rewarded for their valuable experiences. By assessing the career development needs of the nurses, we aimed to better recognize their skills and enhance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s.
선박직원법은 위험화물 취급에 대한 최소자격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과거에는 케미컬 탱커 직무교육 이수를 위해 필수적으로 승무 경력이 요구되었으나, 2023년 동 법 개정 이후, 승무 경력이 없어도 교육 이수가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교육의 성과는 개정 전에 비 해 낮아질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케미컬 탱커 직무교육에서 승무 경력 유무에 따른 교육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이수 자격에서 승무 경력이 삭제된 이후 타 선종에서 케미컬 탱커로 이직자의 비율이 늘고, 승무 경력 유무에 따른 교육 만족도는 승무 경력자가 교육 운영, 교육설계, 교육효과, 강사 능력, 현업 적용 모든 측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현업 적용에서 가장 큰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교육설계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선상 직무교육의 인정, 시뮬레이터를 활용 한 교육 방법 및 승무 경력자와 무경력자의 토의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케미컬 탱커 직무교육 과정에서 승무 경력의 유무가 교육효과 에 미치는 실제 영향을 보여 주며, 향후 교육과정의 개선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배경/목적: 본 연구에서는 췌장 낭종을 가진 환자들 중 임상적 으로 분지형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branch-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으로 여겨지는 환자에서 췌장암 및 우려되는 특징의 누적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방법: 분지형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으로 추적관찰한 환자 177명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상 검사를 통해 주췌관과의 소통이 확인된 췌장 낭종을 ‘분지형 췌관내유두상 점액종양 의심’으로 정의하였고, 주췌관과의 명확한 소통이 없는 경우를 ‘분지형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추정’으로 정의 하였다. 결과: 환자 중 30.5%가 분지형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의심으로 분류되었다. 진단 시의 중위 연령은 64세였으며, 낭종 크기의 중앙값은 13 mm였다. 진단 시 19명(10.7%)의 환자가 우려되는 특징을 보였으며, 고위험 인자(high risk stigmata)를 보인 환자는 없었다. 70.5개월의 추적 기간 동안 3명의 환자에게서 췌장암이 발생하였으며 96개월 시점의 누적 발생률은 4.0% (95% 신뢰 구간[confidence interval, CI], 0.98-10.76%)였다. 진단 시 우려되는 특징이 없는 158명의 환자에서 우려되는 특징의 누적 발생률은 24개월 시점에 5.1% (95% CI, 2.37-9.28%)였고, 96개월 시점에 11.2% (95% CI, 6.34-17.53%)였다. 우려되는 특징의 발생은 분지형 췌관내 유두상점액종양 추정 군(p=0.102)과 75세 미만 환자(p=0.463) 에서 더 낮았으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75세 이상 환자 군에서는 2년이 지난 이후 우려되는 특징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저위험 췌장 낭종 환자에서 췌장암 및 우려되는 특징의 누적 발생률은 현저히 낮았다. 또한, 첫 2년 동안 변화가 없는 고령 환자의 경우 감시를 중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PURPOSES : In this study, the speed limit violation behavior of drivers after experiencing traffic law punishment was analyzed. Simultaneously, the tendency of such drivers to violate other traffic laws besides the speed limit was empirically analyzed. METHODS : Over a two-month period (May–June, 2024), 1,235 responses were collected through a mobile on-line survey targeting drivers living in the urban areas of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After building a binary logit regression model on drivers’ speed limit violations with their personal attributes (e.g., gender, age, education, job, marital status, driving frequency, and driving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past traffic law violations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speed limit violation determinants were derived.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traffic violations were investigated. RESULTS : As the driver age increased, the rate of speed limit violations decreased. Drivers working in relatively high-paying jobs are more likely to incur in speed limit violations. The greater the driving experience, the lower the possibility of a speed limit violation. The greater the number of fines imposed in the previous 12 months, the more likely it is to violate the speed limit. Additionally, drivers who had violated the speed limit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violate laws by failing to follow stop lines at crosswalks, not activating turn signal lamps, entering intersections under a red light, and not wearing seatbelts on public roads. CONCLUSIONS : Fines work as a means of sanctioning to ensure their effectiveness in suppressing repeated law violations. Particularly,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compulsory collection cannot be implemented when the arrears are not larg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improve awareness of the fact that when a violator is imposed with a fine, it is not considered seriously. Meanwhile, there is a ne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so that drivers can follow traffic laws under any circumstance, expand crackdowns on traffic violations, and strengthen preventive campaigns and promotions for traffic safety. Additionally,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help drivers who repeatedly violate traffic laws develop negative attitudes toward violating these laws.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성취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항공서비스학전공 대 학생이 인식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속성이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현 장학습 프로그램을 경험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 시하였으며, 총 25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항공서 비스전공 대학생이 인식한 현장학습속성의 하위요인인 즐거움, 교육성과 는 학습만족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동반만족과 이탈 감의 요인은 학습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둘째, 학 습만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효율적인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현대는 개인의 정신적 가치를 존중한다는 이름하에 개인이 가지는 종교적 믿음 역시 다양성의 측면에서 수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반해 종교적 근본주의는 종교적 믿음의 순수성과 해석의 단일성을 강조하면서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두 관점들은 서로의 극단적인 지향점에만 치중한 채 근본적인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지고 있지 않고 있다. 그 물음이란 바로 (1) 종교의 근원은 무엇이며, (2) 결국 인간이 중심인 종교에서 다양성과 배타성 가운데 어느 쪽이 더 근원적인가이다. 윌리엄 제임스는 이러한 물음들 가운데 (1)을 그의 저작인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에서 현상학적으로 탐구하고, 「믿으려는 의지」라는 논문에서 (2)를 믿음의 선택이라는 관점에서 탐구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제임스가 두 저술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 문제의식을 살펴보고, 그가 던지는 종교적 혹은 윤리적 시사점들이 가지는 현대성에 주목하여 그것이 현대 정신문명의 위기를 해결하는 데에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