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연예술 관객의 향기 마케팅 체험에 관한 연구 : 번 슈미트(Bernd H. Schmitt)의 체험마케팅 관점에서 KCI 등재

A Study on Scent Marketing Experiences of Performing Arts Audiences : From Schmitt’s Strategic Experience Modules(SEM) Perspectiv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0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슈미트의 체험마케팅 이론을 기반으로, 향기 마케팅이 공연 관람객의 체험에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 기 마케팅이 보다 전략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운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향기 마케팅을 적용한 공연을 2편 이상 관람한 관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공연 현장에서의 참여 관찰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적 차원’에서 공연장의 향기는 몰입을 촉진한 반면, 일부 관 객은 향기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강한 향으로 인해 불쾌감 유발 등의 부 정적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감성적 차원’에서는 향기가 공연 전후 기대 감과 여운을 강화했으나, 몰입을 방해하거나 감정적 피로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인지적 차원’에서는 향기가 공연 해석과 공연에 대한 창의적 감 상을 유도하는 도구로 기능하였다. ‘행동적 차원’에서는 공연 후 향기를 주제로 한 관련 상품 검색, 공연 추천 등 다양한 후속 행동이 관찰되었 다. ‘관계적 차원’에서는 향기 체험이 공연단체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거나, 관객 간 감각적 공감대와 감정 공유가 형성되 기도 하였다. 공연예술 현장에서 향기 마케팅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공연 내용과 감정 흐름에 맞춘 전략적 조향, 공연 몰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향의 농도나 지속 시간 등의 세심한 설정, 공연단 체의 정체성 강화를 위한 시그니처 향 개발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based on Schmitt’s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SEM), analyzed the impact of scent marketing on the experiences of performing arts audiences and proposed operational directions.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with audience members who had attended performances featuring scent marketing. The results showed that sc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mmersion and emotional enhancement but also caused some negative reactions and emotional fatigue. It also promoted creative appreciation, follow-up behaviors, positive perceptions of the performing group, and empathy among audience members. For effective scent marketing, strategic scent formulation, careful scent adjustment, and the development of a signature scent are needed.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1. 공연예술의 향기 마케팅
    2. 슈미트의 체험마케팅과 향기 마케팅
III. 연구방법
    1. 연구 문제
    2.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1. 감각적 체험(Sense)
    2. 감성적 체험(Feel)
    3. 인지적 체험(Think)
    4. 행동적 체험(Act)
    5. 관계적 체험(Relate)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상영(홍익대학교) | Park Sang-Young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Kim Sun-Young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