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건관리자의 협력업체 보건관리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는 2023년 8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협력업체 보건관 리 경험이 있는 보건관리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차마즈 (Chamaz 2006)의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론적 표집방법을 통하여 최종 7개의 이론적 범주를 추출하였다. 보건관리자가 협력업체 보건관리를 하며 경험한 이론적 범주는 ‘강화된 제도속의 관리 불확실성’, ‘협력업체 자율관리 부재 및 관리의 역설’, ‘법적 책임과 권한 불균형’, ‘협력업체 보건관리의 난제들’, ‘업무과중과 잠재적 역할 제약’, ‘현장 기반 실천전략의 활용’, ‘효율 극대화를 위한 기술·정서 통합전략’ 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업체 보건관리를 위한 매뉴얼 의 확대보급 및 협력업체 규모와 특성을 고려한 보건관리자 배치 기준의 재검토, 협력업체 자율 안전보건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정부의 재정적, 관리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대기업 보건관리와 다른 소규모 협 력업체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건관리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rauma victim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were selectively represented in the Chosun Ilbo, a major conservative daily newspaper in South Korea.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t analyzes 44 news texts collected from 2014 to 2024, focusing on the strategies of naming, grammatical choice, and intertextuality.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verage consistently foregrounded “Danwon High School students” as the central symbol of public grief, while ordinary passengers, divers, rescue workers, and surviving families were often marginalized or depicted only in functional roles. Such discursive practices created implicit hierarchies of suffering in which some victims’ pain was recognized and remembered, while others were backgrounded or forgotten. Moreover, the reports frequently reframed trauma through psychological or medical discourse, reducing it to treatment and recovery, and diverting attention away from questions of structural responsibility. Intertextual links with later disasters, such as the Itaewon crowd crush, further recontextualized Sewol as part of generational trauma and collective memo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uma recovery is not merely an individual or clinical matter but also shaped by how victims are socially represented and emotionally positioned within public discourse.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인의 낙상 사고경험 및 장애유형과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장애인의 낙상 예 방 및 회복을 위한 지원과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삶 패널조사 4차 데이터(2021년)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낙상 사고경험, 장애유형, 독 립적인 일상생활활동 항목을 분석하였다. 장애인 3,595명의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낙상 사고경험에 따른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의 평균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일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들의 상관 관계를 알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낙상 사고경험과 일반적 특성 중 장애유형이 독립적인 일상생활활 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분석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로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 에 대한 장애유형과 낙상 사고경험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성별을 제외한 일반적 특성과 낙상 사고경험 모두에서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의 평균 차이가 나타났으며, 장애유 형과 낙상 사고경험이 각각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로 독립적인 일상생 활활동에 대해 장애유형과 낙상 사고경험의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인의 낙상 사고경험, 장애유형과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 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 과는 장애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개인별 맞춤형 지원 정책 및 낙상 예방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궁극적으로 장애인의 독립적 일상생활활동을 위한 정책적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향후 보다 포괄적인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ilver nanoparticles (AgNPs) are promising photocatalysts with a broad light absorption range and high catalytic activity. However, conventional synthesis methods often involve toxic chemicals, limiting their environmental applicabilit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co-friendly bio-templating method to synthesize hierarchical micro/nano-structured silver (MNAg) photocatalysts that uses plant leaves, including Nelumbo nucifera (lotus leaf), Rosa sp. (rose petal), and Limonium sinuatum (statice petal), as natural templates. By modifying the leaf surfaces with citrate functional groups, AgNPs were selectively formed along the microstructures of the templates, preserving their hierarchical morphology. MNAg photocatalysts were subsequently obtained through controlled calcination, and successfully retained the microscale structure of the original template. The surface morphology, chemical composition and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MNAg were characteri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X-ray diffraction (XRD), confirming the successful formation of hierarchical AgNPs. The optical behavior of the MNAg, characterized with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DRS), demonstrated broadened absorption across the visible region, which is attributed to plasmonic coupling among the densely packed AgNPs, partially interconnected along the hierarchical surface. The photocatalytic performance of the MNAg materials was evaluated for methylene blue degradation under UV-Vis illumination. The MNAg derived from lotus leaves exhibited the highest photocatalytic efficiency. This study presents a sustainable route to hierarchical Ag photocatalysts,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bio-inspired nanomaterials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In this paper, the uniaxial tensil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fter synchronous biaxial pre-tension analysis are investigated on a ETFE film crown model. After the biaxial pre-stretching is completed, the rectangular specimens are cut along the MD and TD directions of the biaxially pre-stretched ETFE film to conduct the uniaxial stretching test. The uniaxial tensil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TFE film after biaxial pre-stretching are investigated, the specific uniaxial tensile mechanical property parameters of the biaxially pre-stretched film are determined, and the influence of biaxial pre-stretching on the uniaxial tensil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TFE film is analyzed.
Written examination for driver’s license certifi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promoting road safety by assessing the applicants' understanding of traffic laws and safe driving practices. However, concerns have emerged regarding structural biases in multiple-choice question (MCQ) formats, such as disproportionate answer placement and leading linguistic cues, which may allow test-takers to guess the correct answers without substantive legal knowledge.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prompt-driven evaluation framework that integrates structural item analysis with response simulations using a large language model (LLM). First, we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1,000 items to assess formal biases in the answer positions and option lengths. Subsequently, GPT-based simulations were performed under four distinct prompt conditions: (1) safety-oriented reasoning without access to legal knowledge, (2) safety-oriented reasoning with random choices for knowledge-based questions, (3) performance-oriented reasoning using all available knowledge, and (4) a random-guessing baseline model to simulate non-inferential choice behavior. The results revealed notable variations in item difficulty and prompt sensitivity, particularly when safety-related keywords influence answer selection, irrespective of legal accuracy. The proposed framework enables a pretest diagnosis of potential biases in the MCQ design and provides a practical tool for enhancing the fairness and validity of traffic law assessments. By improving the quality control of item banks, this approa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ore reliable knowledge-based testing systems that better support public road safety.
본 논문은 미국의 초현실주의 아상블라주 작가로 알려진 조셉 코넬의 초기 작업인 1930-1940년대에 병행했던 두 형식인 상자 구조물 아상블라주와 필름 콜라주에 주목하여 다양한 기술 매체를 통해 시청각적 감각을 확장한 예술적인 시도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 시기 코넬의 매체 혼성적인 실험의 내재적인 동력으로서 뇌성마비로 인해 신체적·언어적 제약을 가졌던 동생 로버트 코넬과 함께 지낸 경험에 주목한다. 코넬에게 로버트는 돌봄의 대상에 그치지 않고 오히려 사회적인 관습과 성인의 타성을 벗어나게 하는 타자적인 존재이자 그의 감각적인 실험 의 원동력이었다. 코넬은 인간과 자연의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산출한 원초적인 시각 매체에 관심을 가지고 쉐도우박스, 원시적 광학 장치, 무성 영화와 같은 과거의 매체를 인간의 지각과 감각을 확장하는 장치로서 긍정적으로 수용했다. 코넬의 상자 구조물과 필름 콜라주는 거동이 불편한 로버트가 감각적 유희를 즐기면서도 신체적인 제약을 넘어 열린 시공간의 세계를 상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로버트와 보낸 시간의 기 억을 담고 있는 그의 필름 콜라주는 분절적으로 누적된 시간과 다층적으로 중첩된 감정을 담은 비선형적인 심연의 시간을 다룬 독자적인 실험 이었다.
본 연구는 정책 개혁을 중심으로 중국 자본시장의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관련 연구 동향을 검토한다. 2004년 이후 중국은 자본시장의 개혁과 발전을 위해 세 차례에 걸쳐 “국9조(国九条)”를 발표해왔다. 해당 문건은 자본시 장의 역할 강화, 투자자 보호, 상장회사의 질적 향상, 법․제도 개혁, 대외 개방 확대 등 주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당시 경제 상황과 정책 방향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이 변화되어왔다. 본 연구는 국9조의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자 본시장의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구조적 특징과 발전, 그리고 핀테크 산업의 성장 및 관련 시장의 변화를 다룬다. 이를 통해 중국 자본시장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국내 자본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정책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학문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유통 과채류 가공식품의 잔류농 약 오염도를 모니터링하여 소비자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울산광역시 소재 대형마트와 온라인 쇼 핑몰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과일 및 채소 가공식품 120건 (과일류 58건, 채소류 62건)에 대해 잔류농약(401종)을 분 석하였으며, 검출률은 32.5%(39건)이었고, 총 48종의 농약 검출을 확인하였다. 한편,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울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 원(농수산물검사소)에서 수행한 비가공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률과 비교했을 때, 과일 및 채소 가공식품의 검출률 은 60-70% 수준이었다. 또한 검출된 농약의 검출량은 모 든 시료에서 원료 농산물에 대한 한국 기준의 20% 미만 수준이었고, 위해도(%ADI) 평가 결과 0.0003-0.7658%로 모두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가공식품과 일반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 출률 및 검출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가공식품에서도 잔류 농약 관리가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다만, 조사 한 가공식품 검체의 수량 및 종류가 제한적이고, 비가공 농산물에 대한 자료는 울산광역시에 유통되는 농산물에 국한된 자료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 에서는 가공식품 검체를 더 많이 확보하고, 비가공 농산 물에 대한 자료는 전국 수준에서 수집하여 보다 정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윌리엄 블레이크의 마지막 대 예언시 예루살렘을 다시 쓴 묵시 록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예루살렘은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된 복잡한 환 상시로, 선형적 구성의 요한계시록 과는 달리 비선형적이고 비시간적이며 여 러 상징적 사건이 상호연결된 형태로 전개된다. 시는 육천 년간의 인류의 타락 과 회복을 앨비온이라는 우주적 인간을 중심으로 전개함에 있어, 그의 영적 수 면과 각성의 반복을 통해 나선형적 “살아있는 형식”을 구현한다. 앨비온은 인 류, 영국, 혹은 개인을 상징하며, 내면의 “유령”과 “이기적 자아”를 극복할 때 즉시 깨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상상력의 기능은 예언적 예술가 로스를 통해 구 현된다. 로스는 끊임없는 정신적 투쟁 속에서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하며, 독자 역시 난해한 시 읽기 과정을 통해 이러한 영적 여정에 동참하게 된다. “예루살 렘”은 완전한 상상력이 실현되는 에덴의 비전을 제시하며, 시 예루살렘은 이 러한 에덴을 향한 시인의 묵시적 글쓰기라 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염증을 동반한 알레르기성 질환 이며, 일반적으로 Type 2 염증 반응과 관련이 깊다고 알 려져 있다. Corchorus olitorius (C. olitorius)의 아토피 피 부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4-dinitrochlorbenzene 로 아토피 피부염 모델을 유도한 BALB/c 마우스를 대상 으로 피부 염증 개선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질환 관 련 IgE와 사이토카인(IL-4, IFN-γ and TNF-α)의 수준을 측정 하였다. 7일간의 투여기간동안 양성대조약물인 Dexamethasone 투여군의 체중은 감소하였던 반면에 모든 C. olitorius 투 여군의 체중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C. olitorius이 동물에 위해한 영향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 olitorius 200 mg/kg/day 투여군의 치료 효과가 가장 뛰 어났으며, 모든 C. olitorius 투여군의 염증 관련 면역글로 불린과 사이토카인의 수준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C. olitorius 는 아토피 치료제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richoloma matsutake is a commercially valuable fungus that produces gourmet mushrooms. The artificial cultivation method that is currently used to produce fruiting bodies involves the transplantation of pine trees infected with T. matsutake from their natural habitats and the successful infection of young pine trees and mushroom production have been reported in Hongcheon. In this study, T. matsutak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in this region were investigated. A genotype analysis was conducted on 25 fruiting bodies collected from an area approximately 2.56 km2 in size using 10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The analysis revealed 25 genotypes and 23 alleles with mean observed (HO) and expected (HE) heterozygosities of 0.312 and 0.293, respectively. The averag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which indicates marker polymorphism, was 0.257. A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no clear correlation between collection location and genetic distance; a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no significant genetic structure within 1600 m; and the Mantel test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etic and geographic distances.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ports on Japanese population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T. matsutake at a local scale and highlights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across broader geographical ranges.
평보 서희환은 한글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판본 고체형식에 서 미학성을 발견하고 한자 서예의 원리와 자신의 창작 경험을 바탕으로 고풍스러우면서도 질박한, 이른바 ‘평보체’를 이루었 다. 본 논문에서 평보 서희환의 한글서예를 조형예술의 보편적 조형 요소와 조형 원리를 적용하여 서희환 한글서예의 성취와 한계를 고찰하였다. 본론에서는 조형예술에 속하는 서예를 한글과 한자의 구조와 서예 양식 등을 조형예술의 원리에 적용하여 한글서예의 장점 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한글과 한자의 구조적 차이로 인하여 서희환이 모범으로 적용하려고 했던 한자서예 양식을 한글서예 에 적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는 부분이 있음을 밝혔다. 서희환 역시 서예의 유일한 조형언어인 필획(筆劃)만으로는 스스로 이상 으로 삼은 한글서예를 완성하기 어려움을 인지하고, 유동(流動) 하는 형태적 공간의 조형을 택하지 않고, 필획의 질감을 위주로 한 정지된 공간 조형을 구축하였다. 그래서인지 서희환은 “절제 된 단순성과 소박한 무욕 내지는 순수성을 추구하여 획이나 필 력의 개념도 힘의 논리가 아닌 질김의 논리로 이해하려고 하였 다. 그래서 오히려 한글서예의 독창성을 이루었을 소지가 있다. 서희환의 한글서예는 결국 線的서예에서 點과 面의 조합으 로 구축한 ‘고정적’인 성질로 진행되었다. 또 서희환이 추구한 절제된 단순성과 소박한 무욕, 질김, 수졸의 천진이나 질박의 원시성, 무념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거친 질감을 내는, 금 석기 있는 선질과 평면적 구조로 진행되었다고 여겨진다.
In this study, we addressed the prevention of fire extinguishing device malfunction caused by noise in the fire detector 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s applied to mobile equipment such as armored vehicles and tanks.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consists of a fire detection unit, an automatic control unit, and a fire suppression unit. In the case of a fire detector, it is a major component of the fire detection unit. Even though no fire occurred during operation in the field, a number of fire extinguisher sprays occurred, and the malfunction of the fire detector, which is a fire detection unit, was reproduced. The cause was identified as noise in the fire detector connector due to vibration and shock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of the mobility equip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noise generated momentarily from a fire detector is treated as an exception, and when a fir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or to the automatic control unit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Software has been improved to enable fire extinguishers to operate.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malfunctions i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s, which are components of mobile equipment, and derived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s.
본 연구에서는 SLSTR로부터 산출된 위성 해수면온도 자료를 수집하여, 한반도 연안 해역에서의 실측 자료와 의 일치점을 생산하여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2021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3개년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497개의 일치점을 생산하였다. SLSTR 위성 해수면온도는 부 이 관측 해수면온도와 비교하였을 때 0.42K의 평균 제곱근 오차와 0.24 K의 평균 편차를 보였으며, 이는 SLSTR 위 성 사전 발사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수치였다. 주간에는 0.14 K, 야간에는 0.29 K의 평균 편차로 야간의 음의 편차가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겨울철에는 음의 편차가, 여름철에는 양의 편차가 나타나는 계절적 변동성을 보였다. 해역별로는 동해에 비해서 황해와 남해에서 평균 제곱근 오차의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연안으로부터의 거리, 풍속, 해수 면온도의 공간구배와 같은 요인에 의해 변동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위성 해수면온도는 4 m s1의 낮은 풍속 범위에서 주 간에는 양의 편차가, 야간에는 음의 편차가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야간의 편차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으로 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위성 해수면온도의 오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해수면온도의 공간 구배가 커질수록 평균 제곱근 오차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국지적인 환경에서의 SLSTR 위성 해수면온도 활용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 추후 위성 해수면온도의 오차 변동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 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ypes of work-life balance among employe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investigate variations in depressive symptoms and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across these types. Data were derived from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conducted between 2020 and 2021, which included a sample of 49,479 employed individuals. The LPA revealed three distinct profiles of work-life balance: Low Balance (18.5%), Moderate Balance (72.9%), and High Balance (8.6%).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and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were observed among these profiles. Specifically, the Low Balance group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while the High Balance group displayed the lowest depressive symptoms and the highest satisfac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work-life balance in influencing both depressive symptoms and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