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유통 과채류 가공식품의 잔류농 약 오염도를 모니터링하여 소비자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울산광역시 소재 대형마트와 온라인 쇼 핑몰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과일 및 채소 가공식품 120건 (과일류 58건, 채소류 62건)에 대해 잔류농약(401종)을 분 석하였으며, 검출률은 32.5%(39건)이었고, 총 48종의 농약 검출을 확인하였다. 한편,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울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 원(농수산물검사소)에서 수행한 비가공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률과 비교했을 때, 과일 및 채소 가공식품의 검출률 은 60-70% 수준이었다. 또한 검출된 농약의 검출량은 모 든 시료에서 원료 농산물에 대한 한국 기준의 20% 미만 수준이었고, 위해도(%ADI) 평가 결과 0.0003-0.7658%로 모두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가공식품과 일반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 출률 및 검출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가공식품에서도 잔류 농약 관리가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다만, 조사 한 가공식품 검체의 수량 및 종류가 제한적이고, 비가공 농산물에 대한 자료는 울산광역시에 유통되는 농산물에 국한된 자료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 에서는 가공식품 검체를 더 많이 확보하고, 비가공 농산 물에 대한 자료는 전국 수준에서 수집하여 보다 정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o study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a fluorescent OLED according to the device structure, we fabricated Device 1 using ITO / NPB / Alq3 / Liq / Al, Device 2 using ITO / 2-TNATA / NPB / Alq3 / Liq / Al, and Device 3 using ITO / 2-TNATA / NPB / SH-1:BD / Alq3 / Liq / Al. The current density and luminance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layers of the organic thin films in the order of Device 1, 2, 3, whereas the current efficiency increased. From the Cole-Cole plot at a driving voltage of 6 V, the maximum impedance values of Devices 1, 2, and 3 were respectively 51, 108, and 160 Ω just after device fabrication. An increase in the impedance maximum value is a phenomenon caused by the charge mobility and the resistance between interfaces. With the elapse of time after the device fabrication, the shape of the Cole-Cole plot changed to a form similar to 0 or a lower voltage due to the degradation of the device. As a result, we were able to see that an impedance change in an OLE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gradation and the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