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돌봄 현장에서의 죽음과 웰다잉 경험: 요양보호사의 자기성찰과 전문성 함의에 관한 문헌 연구 KCI 등재후보

Death and Well-Dying Experience in Care Field: A Literature Study on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 Implications of Care Wo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6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자연치유재활복지융합연구(구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Rehabilitation Welfare Convergence Study)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웰다잉 경험이 자기성찰과 전문성 형성에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를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 령화의 가속화와 함께 돌봄 현장에서 죽음과 임종은 일상적인 경험이 되고 있으며, 특히 요양보호사는 노인의 웰다잉을 직접 지원하면서 죽음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체험한다. 이 러한 경험은 단순한 직무 수행을 넘어, 요양보호사 개인의 자기 성찰과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전문성 강 화를 위한 학문적·실천적 자원으로 작용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로,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연구들을 폭넓게 검토하였다. 선정된 문헌은 웰다잉 경험, 돌봄 경험, 자기성찰, 전문성의 네 가지 핵심 범주로 분류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요양보호사의 웰다잉 경험은 첫째, 죽음에 대한 긍정 적 인식과 수용 태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둘째, 자기성찰 을 촉진하여 개인적·직업적 성장을 이끌었다. 셋째, 전문성 강화 의 기제로 작용하여 돌봄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의 흐름과 대체로 일치하며, 요양보호사 의 웰다잉 경험이 단순한 직무적 사건을 넘어 성찰적 학습과 전 문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 구는 요양보호사의 웰다잉 경험을 학문적·실천적 측면에서 재조 명하고, 자기성찰과 전문성 함의를 탐구함으로써 돌봄 노동의 가 치와 요양보호사 직종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 다. 또한 본 연구는 웰다잉 교육과 임종돌봄 지원 프로그램의 필 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교육·정책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 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nursing care workers’ well-dying experiences for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the rapid aging of society, death and end-of-life care have become daily occurrences in care settings, where nursing care workers directly support the elderly in achieving a dignified death. Such experiences extend beyond routine job performance, influencing self-reflection and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serving as academic and practical resources for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method, examining research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4. The selected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well-dying experience, caring experience,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ism-and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elldying experiences: (1) fostered positive perceptions and acceptance of death, (2) promoted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self-reflection, and (3) enhanced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by reinforcing professional competence. These results align with previous studies and highlight well-dying experiences as a foundation for reflective learning and professional formation. In conclusion, the study re-examines nursing care workers’ well-dying experiences as a resource for both academic inquiry and practical application. It underscores their role in enhancing the value of caregiving and elevating the social status of care workers, while also emphasizing the need for well-dying education and end-of-life care programs as essential directions for future policy and practice.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 의의
2. Theoretical Background
    2.1 웰다잉(well-dying)의 개념과 의의
    2.2 요양보호사의 돌봄 경험과 죽음 인식
    2.3 자기성찰과 돌봄 직업의 전문성
3.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3.1 웰다잉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
    3.2 요양보호사의 직무 경험과 죽음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
    3.3 자기성찰과 전문성 함의에 관한 선행연구
    3.4 선행연구의 종합
4. Research Method
    4.1 연구 설계
    4.2 문헌 수집 절차
    4.3 분석 방법
5. Research Findings: Key Results from LiteratureAnalysis
    5.1 웰다잉 경험이 죽음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5.2 웰다잉 경험과 자기성찰의 연계성
    5.3 웰다잉 경험과 전문성 강화의 관계
6. Discussion
7.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남명숙(Haetsal Integrated Senior Welfare Center, 5F, 169 Chuncheon-ro, Chuncheon-si,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 Myeongsook 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