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1.
        2025.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비요양보호사의 우울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서 사회적 배제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삶의 질 과 직무 준비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G시 소재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예비요양보호사 241명 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여 자기보고형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연구기간은 2025년 1월부터 2025년 2월까지(약 2개월) 진 행되었으며, 통계분석은 SPSS window version 25.0과 PROCESS macro version 3.5.3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 째, 예비요양보호사의 우울, 생활만족도, 사회적 배제 수준은 평 균 이상이었다. 둘째, 이 세 변수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PROCESS macro Model 1을 활용한 조절효과 분석 결 과, 사회적 배제는 우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수준 이하에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는 사회적 배제가 우울의 영향을 조절하여 중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6,100원
        2.
        2025.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 감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심리적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 다. 이 연구는 2024년 12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약 3개월간 G시에 소재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집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스트 레핑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 감, 직무열의, 심리적 행복감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 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열의, 심리적 행복감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열 의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 이 확인되었다. 이는 심리적 행복감을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를 높이는 매개변인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를 강화하기 위해서 는 자아존중감, 심리적 행복감을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5,8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로나 19를 비롯하여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종감염병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의 코로나 19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감염병 안전관리 활동 촉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진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요양보호사 302명으로 자 료수집은 2022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 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코로나 19 인지도(r=.420, p<.001), 감염 예방행위(r=.585 p<.001)와 양의 상관관계 를 보였고,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으로 코로나 19 인지도(β=.331, p<.001)와 감염 예방행위(β=.529, p<.001)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4.3%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촉 진시키기 위해서는 코로나 19 인지도와 감염 예방행위를 고려한 환자안전관리 활동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4,600원
        4.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서비스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성 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J지역 노인요양원에서 근무하 는 요양보호사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223명의 응답 자 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업소명의식은 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업소명의식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성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 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업소명의식과 자기효능감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요 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관계성 향상을 위해 동기부여를 위한 승진체계 도입, 동료와 소통하고 어르신들에게는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 공하기 위한 시간적 물리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6,100원
        5.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D도시 소재 A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중인 요양보호사를 대 상으로 왜 대부분의 요양보호사는 여성이며, 특히 연령대는 왜 대부분 50~60대인지, 그리고 요양보호사로의 삶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들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해석적 현상학을 활용하여 요양보호사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 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4가지 테마를 도출하였다. 1) 대다수가 여성인 이유 2)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특성 3) 직업적 현실과 사회적 기대 4) 작업환경과 사회적 인식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요양보호사의 근로환경 개선 및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 적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7,700원
        6.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인식이 업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에서 대인관계 효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 다. 연구의 대상은 요양보호사로 2020년 7월~2021년 3월까지 수집된 설 문 471부를 중심으로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 였다. 연구 결과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인식은 대인관계 효율성(ß=.124)과 업무 스트레스(ß=-.394)에, 요양보호사의 대인관계 효율성은 업무 스트레 스(ß=-.284)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인식 이 업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효율성의 매개효과를 검 증한 결과, 대인관계 효율성의 부분 매개를 확인했다(ß=-.035). 연구 결 과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 시하였다.
        6,100원
        7.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가 지각한 노인요양시설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 지가 자기효능감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충청, 강원을 비롯한 전국에 소재하는 노인요양시설 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42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 탕으로 SPSS와 AMOS 2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의 타 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코칭 역량의 일곱 가지 하위요인과 사회적지지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단일요 인인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요인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 해서는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지를 요양보호사가 받아들이고 분별하여 판 단할 수 있도록 원장과의 수평적인 입장에서의 인간적, 업무적 관계 형성 등을 통해 개인의 가치를 인정받는 직접적인 방법들의 실천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 돌봄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분위기 및 환경을 조성하여 요양보호사가 직무에 만족할 수 있는 방안 및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6,400원
        8.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요양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인 돌봄 이행의 질적 제고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으며, 이 를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돌봄 이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조직유효 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임의 표집 방식을 통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2023년 8월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140명의 자 료가 수집되었으며,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 석을 도출하고,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Macro Model 4와 Model 6을 통해 개별 매개 및 순차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돌봄 이행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조직 유효성의 개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 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돌봄 이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 본과 조직 유효성의 순차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돌봄 이행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직무스트 레스를 감경하고, 이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자본 및 조직 유효성의 긍정 적 강화 방안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했다.
        7,700원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 지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 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노인요양시설과 재가센터 소속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22년 7월 1일부터 7월 29일까지 실시되었으며, 19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é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 지식과 자 기효능감(r=.653, p<.001), 환자안전 지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r=.467, p<.001)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 지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완전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46.8%였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4,500원
        1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관련 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근무안정성과 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며 특히 관련 시설 중 노인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을 대표하는 주야간보호센터를 비교 분석하고 자 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관련 시설 요양보호사의 근무안 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향상 및 고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 관 련 시설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안정성과의 관계에 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노인 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810명 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를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학 력, 직무만족도가 근무안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 므로, 학력별 근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직무만족도가 낮은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근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시설과 노인요양시설 모두 직무만족도는 근무안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요양보호사의 근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 무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시설 유형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가 나타났으므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노인장기요양 관련 시설별 요양보 호사들의 근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직무만족도 수준의 향상과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방안을 제언하였다.
        8,300원
        11.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자신감, 자기효능감,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예측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요양보호사 202명을 대상 으로 2022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자료수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의사소통 자신감과 정적 상관관계(r=.54, p<.001), 응급처치 수행자신감은 의사소통 자신감(r=-.18, p<.05),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1, p<.001).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예측 요인으로 간호조무사가 없을 때(β=-.18, p=.009)와 자기효능감(β=-.30, p<.001)으로 나타났고, 설명력 은 11.0%였다(Adj R2=.110, p<.001).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요양보호사의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 한 응급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4,600원
        12.
        2022.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이다. 요양보호사가 어떠한 상황에서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고, 감정노동에 따른 소진을 예방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첫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유형을 살펴본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 동 대처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해소를 위한 요양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자 5명의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고, 자료의 수집은 2022년 2월 에서 4월 사이에 일대일 면접으로 이루어졌다. 근거이론의 절차에 따라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충실히 수행하게 되었다. 개방코딩에서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라 개념 및 범주화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장기요양시설에서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는 장기요양시설 내에서 요양보호사에 대한 정서적인 지원이나 긍정적 표출 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는 가족교육을 통해 요양보호사와 가족 간의 신뢰감 형성이 필요하다. 셋째는 체계적 요양보호사의 자격증발급과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의 개선과 더불어서 적절한 보상이 수반되어야 할 필 요성이 있다.
        4,500원
        1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performance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on caregivers’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toward safety.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at applied before-and-after designs for the test and control groups. It was configured focusing on “infectious disease,” “fires,” “falls,” and “drug abus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nd patient safety perform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safe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performance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atient safety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pply and evaluate the simulation-based patient safety performance training program to enable caregivers to develop professional prevention and management capabilities within elderly care facilities
        4,500원
        14.
        2022.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고, 감정부조화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요양보 호사의 감정부조화를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높게 형성하여 감정노 동으로 인한 심리적 소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심리적 개입 및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소재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직접방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783부를 최종 통계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의 경우,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에 대해서 심리적 소진에 부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와 사회적 지지는 감정 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800원
        15.
        2022.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로 인해 요양보호서비스 확대가 필요하고, 질 좋은 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요양 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모두 고려하는 조직유효성이 제기되었으며,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요양보호시설과 같이 소규모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은 조직에서는 조직유효성에 원장리더십의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하면서, .소요양보호사의 소진은 조직유효 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연구되었는데, 연구변인 간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노 인의료복지시설 원장리더십, 사회적지지, 조직유효성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적재값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관측변인 들은 해당 잠재변인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구조모형을 통해 연 구변인 간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노인의료복지시설 원장리더십은 사회적지 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지지는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사회적지지는 소진의 영향력을 완화하 여 조직유효성을 높이는 것으로 매개역할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요 양보호사가 사회적으로 존중 받으면서 질 높은 노인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원 장리더십을 통하여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있으며, 원장리더십과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 사이에서 사회적지지가 매개역 할을 하는지 살펴봄으로 요양보호사가 역할을 수행할 때 조직유효성을 높여서 업무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힘든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대상자들에게 질 높은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 였다는 것에 있다.
        8,700원
        16.
        2022.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요 양보호사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요양보호사의 조직문화가 직무만 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결과,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개발문화, 위계문 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요인은 직무만족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조직문화유형 중 위계문화가 내적만족에 β= .315, t값은 17.325(P< .001)로 가장 큰 영향을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조직문화가 자 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인 요양보호사의 조직문 화가 종속변수인 자기효능감을 58.6%(R²= .586)로 설명, Durbin-Watson은 1.937, F값은 19.944(P= .000)의 수치를 보이며 회귀선이 모델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개발문화, 위계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요인은 자기효능감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요 양보호사의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가 외적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매개효과의 총효과(인과적 효과)는 β= .775가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실천현장의 경험을 통 해 갖게 된 조직문화 유형에서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그에 따른 요양보호사들이 조직문화 안에서 직무에 대한 만족을 높 여 본인의 삶의 질도 높이고, 노인장기요양의 수급대상자에게 서비스의 질 향 상과 조직문화의 효율적으로 관리·운영 할 수 있는 기초 기초자료를 제시했다 는 것에 의의가 있다.
        9,000원
        17.
        2022.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원장리 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을 증진하여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노인들을 질 케어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는 원장리더십과 요양보호사의 조직유효성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인과관 계 구조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 원장리더십과 요양 보호사의 조직유효성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결과를 바 탕으로, 원장리더십과 요양보호사의 관계에서 조직유효성을 향상하기 위한 실 증적 기초자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6,100원
        18.
        2022.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치유농업활동이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에 유의한 효과가 있 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22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에 11명씩 최대한 동등하게 배정한 다음 활동 후 얻은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 점수를 비교 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이다. 실험집단은 1일 1회 7일간 ‘수확의 기쁨’ 제목의 치유농업활동을 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 간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조집단과 달리 실험집단의 경우 활동 후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 셋째, 적극적 대처행위를 더 빈번하게 소극적 대처행위는 덜 빈번하게 사용하 였고, 넷째, 직무만족도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치유농업활동은 스트레스에 취약한 요양보호 사들의 스트레스 대처와 직무만족에 유용하다고 하겠다
        4,800원
        19.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은 개인의 욕구에 맞는 요양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노인의 신체활동이나 가사활동 등의 개별화된 서비스 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일자리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료복지시설의 요양보호사가 인지하고 있는 현재의 사회적 지지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요양서비스 질을 향 상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의료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48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WIN 24.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 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요양보호 사의 사회적 지지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직무스트레스에는 유의 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직무만족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직무 스트레스는 서비스 질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 와 서비스 질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요양보 호사의 사회적 지지는 직무만족을 매개하여 서비스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검증되었다. 본 논문은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과 직 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고 요양보호사 의 사회적 지지가 요양서비스 질의 수준을 높여 요양보호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 는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였다.
        7,800원
        20.
        202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목적은 요양보호사의 개인적 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수 도권 요양보호사 366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개인적 특성에서 신체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은 조직몰 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개인적 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직접 영향과 직무스트레스 를 통하여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개인적 특성이 자아탄력성에 직접 영향과 자아탄력성을 통하여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6,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