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의 매개효과 KCI 등재후보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Job Engagement Among Adult Learn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99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자연치유재활복지융합연구(구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Rehabilitation Welfare Convergence Study)
초록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 감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심리적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 다. 이 연구는 2024년 12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약 3개월간 G시에 소재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집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스트 레핑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 감, 직무열의, 심리적 행복감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 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열의, 심리적 행복감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열 의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 이 확인되었다. 이는 심리적 행복감을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를 높이는 매개변인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를 강화하기 위해서 는 자아존중감, 심리적 행복감을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job engagement among caregivers, focusing on the releva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mediating effect.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three months, from December 2024 to February 2025, using a self-reported survey administered to caregivers in G City through random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hile bootstrapping was employ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self-esteem,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aregivers were found to be moderate. Second, self-esteem,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firm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self-esteem and job 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serves as a mediating variable in enhancing job engagement among caregivers, highlighting the need for efforts to manag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strengthen their job engagement.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1 이론적 배경
2. Study method
    2.1 연구모형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방법
3. Results
    3.1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열의, 심리적 행복감의 인식
    3.2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열의, 심리적 행복감의상관관계
    3.3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심리적 행복감의 매개효과
4. Discussion & Conclusion
    4.1 결 론
    4.2 논 의
References
저자
  • 임기란(11429 Seojeong University, 27, Seojeong-ro, Eunhyeon-myeon, Yangju-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 Kiran L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