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해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Resolution of Nursing Care Wo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5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이다. 요양보호사가 어떠한 상황에서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고, 감정노동에 따른 소진을 예방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첫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유형을 살펴본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 동 대처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해소를 위한 요양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자 5명의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고, 자료의 수집은 2022년 2월 에서 4월 사이에 일대일 면접으로 이루어졌다. 근거이론의 절차에 따라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충실히 수행하게 되었다. 개방코딩에서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라 개념 및 범주화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장기요양시설에서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는 장기요양시설 내에서 요양보호사에 대한 정서적인 지원이나 긍정적 표출 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는 가족교육을 통해 요양보호사와 가족 간의 신뢰감 형성이 필요하다. 셋째는 체계적 요양보호사의 자격증발급과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의 개선과 더불어서 적절한 보상이 수반되어야 할 필 요성이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on emotional labor of nursing care work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emotional labor by nursing care workers in certain situations and exhaustion due to emotional labor. To this end, first, we look at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of caregivers. Second, it presents measures for nursing care workers to cope with emotional labor. Third, it is to provide quality improvement of nursing services to relieve emotional labor of nursing care workers. Therefore, this study consisted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participants,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between February and April 2022.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faithfu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evidence theory. In open coding, data on concept and categoriz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evidence theor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o solve the emotional labor of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irst, support is needed to secure emotional support or positive expression and expertise for nursing care workers within long-term care fac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form a sense of trust between caregivers and their families through family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issue a certificate for a systematic caregiver. Finally,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caregivers and to accompany appropriate compens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감정노동의 개념
    2. 근거이론의 개념과 진행과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 수집과 분석
Ⅳ. 연구결과
    1. 개방코딩의 결과
    2. 축코딩의 결과
    3. 선택코딩의 결과(범주의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기순(또래또 어린이집 원장) | Lee Ki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