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성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노인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vironment on the Perception of Elderly Abuse by Female Care Wo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여성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노인학대인식의 관계에서 직 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5년 1월 2 일부터 2025년 1월 31일까지 k시의 노인요양 시설에 근무하는 여성요양보호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57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 였다. 자료분석은 자료분석을 SPSS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 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으며, 직무환경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헤이즈(Hayes 2012)가 고안한 Process Macro Mode l 4를 활용했다. 본 연구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노인학대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 은 노인학대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 의 직무스트레스와 노인학대인식의 관계에서 직무환경이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요양보호사의 노인학대인식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증진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에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job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elder abuse perception of female care worker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are workers working at elderly care facilities in k city from January 2, 2025 to January 31, 2025, and a total of 357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job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stress of nursing care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b environment of nursing care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environ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of nursing care workers and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elder abuse by female care worker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Ⅱ. 연구방법 및 내용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3. 자료수집방법
    4. 자료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2.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3. 직무환경의 매개효과
    4. 직무환경의 매개효과 통계적 유의도 검증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정일철(울산대학교) | Jung Il-Cheul (Korean play education Cultural Research Society)
  • 정해순("돌봄"온맘터치 원주점 센터장) | Jung hae-soon (Dolbom Onmomtouch Wonju center)
  • 공혜영(대구한의 대학교) | Gong Hye-Young (Bright Future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Corresponding author